2024.04.24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경제포커스]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과 우리 경제

 

미국의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6월 말 영국의 EU탈퇴 결정(브렉시트) 직후 파운드화의 폭락과 유로지역 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된 데다 국제금융시장의 불안도 높아지면서 미국이 금년중 금리를 인상하는 것은 힘들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영국정부의 차분한 출구전략과 독일 및 프랑스의 합리적 대응으로 브렉시트의 부정적 영향이 제한적 수준에 그치고 미국경기가 예상보다 양호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미국의 연내 금리인상 전망이 점차 커지고 있다.

사실 미국은 지난 2008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자국 금융시장의 안정과 국내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제로 수준으로 낮춘 후 막대한 규모의 유동성을 공급하는 양적완화 정책을 펼친 바 있다. 이후 미국경기의 회복 조짐을 확인한 미국 연준은 9개월 전인 작년 12월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하면서 향후 1~2년 동안 기준금리 수준을 1%대 후반까지 상향조정하겠다는 금리정상화 의지를 분명히 하였다.

만일 미국 연준이 오늘(9.22일) 또는 금년 12월에 기준금리를 추가적으로 인상할 경우 국내 및 해외 경제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은 대내외 금리격차 축소와 달러화 강세로 이어져 외국 투자자금이 우리나라를 포함한 신흥시장국에서 이탈함으로써 국내 금융시장에 적지않은 충격을 줄 수 있다. 실제로 미국의 금리인상설이 제기되었던 지난해 6월부터 금년 2월까지 국내 증권시장에서는 9개월 연속으로 외국인 자금이 순유출된 바 있다.

그러나 미국의 금리인상을 부정적으로만 해석할 필요는 없다. 미국의 금리인상은 미국경제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부진에서 벗어나 회복되고 있다는 강력한 신호로 해석될 수도 있다. 세계경제를 견인해 온 미국경제의 회복은 그동안 부진의 늪에서 시달려온 유럽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미국과 유럽경제의 회복은 글로벌 수요를 끌어올려 중국과 인도 등 주요 신흥시장국의 생산 및 공급확대를 기대할 수 있는데다 이러한 긍정적 변화가 우리나라의 수출 확대로도 연결될 경우 우리경제의 회복에도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미국의 금리인상은 동전의 양면처럼 부정적인 요소와 긍정적 영향을 모두 지니고 있다. 중요한 것은 앞으로 우리경제가 미국 금리인상의 부정적 영향은 최소화하면서도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역량을 모아 나가야 한다는 점이다.

우리나라는 2014년 이후 5차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인하함으로써 경기 둔화에 대응해왔다. 이러한 가운데 지난 8월 초 S&P는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을 사상최고 수준인 ‘AA’로 상향조정하면서 국제금융시장에서 한국경제의 대외안정성을 확인해준 바 있다. 또한 지난 8월 말 한일 재무장관회의에서는 한일간 통화스왑체결에도 사실상의 합의를 이루었으며 금년 8월 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3천755억달러로 사상 최대수준에 달하여 국제금융시장 등에서 충격이 발생할 경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실탄도 넉넉한 편이다.

반면 우리 경제는 1천300조원대까지 급증한 가계부채 문제, 조선 및 해운산업 구조조정 지연 등과 같은 취약점도 안고 있는데, 미국의 금리인상이 이와 같은 문제를 더욱 어렵게 만들 가능성도 있다. 물론 이러한 점들은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상관 없이 우리 경제가 반드시 해결해야만 하는 숙제이기도 하지만 미국 금리인상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도 당면한 구조적인 경제 현안들에 대해 경제주체들이 지혜로운 해법을 도출하고 이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나아가야 한다.

우리 경제가 경제체질 강화에 필요한 기본을 더욱 충실히 다져나감으로써 향후 구조조정 과정에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견실한 경제성장이 가져다 줄 혜택을 경제주체들이 골고루 누릴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