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에서 볼 때 여름은 다른 계절에 비해 기온과 습도가 높고 양(陽)의 기운이 강한 시기이므로 만물이 생장해 발달하고 번창하는 계절이다. 한의사들은 여름의 기질에 대해 활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더운 기운, 즉 화(火), 열(熱), 서(暑)의 기운이 강한 때여서 이로 인한 질병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여름철에 에어컨이나 찬 음식에만 지나치게 의존하지 말고 기운과 진액이 부족해지기 쉬우므로 충분한 영양섭취를 하면서 더위를 이기면서 여름을 건강하게 지내야 한다. 여름철에 발병하기 쉬운 질병과 여름에 맞는 한약은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자.
*질병
▲일사병
여름철 장시간 햇볕에 노출되면 두통, 현기증, 탈력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심하게는 순간적으로 의식불명 상태가 될 수도 있다.
햇볕이 뜨거운 곳에서는 차양이 잇는 모자를 착용하고 증세가 예견도리 때 곧바로 서늘한 곳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충분한 수분을 취하는 것이 일사병을 예방하는 길이다.
일사병은 체질적인 원인도 있기 때문에 자주 겪는 사람은 특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
▲냉방병
냉방병은 주로 선풍기나 에어컨 등의 냉방기에서 나오는 바람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실내외 온도차가 원인이 돼 두통·식욕부진·코막힘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냉방기를 사용할 때는 자주 환기를 시켜주고 실내외 온도차를 5도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실외에서 가벼운 운동을 해주거나 따뜻한 음식으로 몸을 보(補)해주는 것이 좋다.
▲전염성 질환
사람들이 북적거리는 곳에서 물놀이를 한 후에는 눈병(유행성 결막염)이나 귓병(외이도염)이 옮기 쉽다.
물놀이 후에는 얼굴과 손발을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는 것이 좋으며 충혈·가려움 등 눈병이 의심될 때에는 찬 수건으로 냉찜질을 해주고 수건을 같이 쓰지 말아야 한다.
또 귓속에 물이 들어갔을 때에는 머리를 한 쪽으로 기울이고 가볍게 뛰어 물을 빼주거나 면봉 등으로 귓속을 닦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 여름과 한약
날씨가 따뜻해지면 바깥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땀을 많이 흘리게 된다.
날씨가 더운 만큼 빨리 지치고 지치면 땀이 흐르게 된다. 기운이 넉넉하면 땀이 없거나 조금 흘리고 기운이 쇠약해지면 그만큼 많은 양의 땀이 흐르는 것이다.
일부 사람들이 여름에는 한약을 먹지 말아야 된다고 생각한다.
땀으로 한약 먹은 것이 다 나가버려 손해라고 믿는 경향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잘못된 상식이다. 온몸을 돌고 돌아 제 역할을 다하고 기운이 지칠 때 나가는게 땀이다.
김복순 한의사는 “우리 조상님들은 땀을 많이 흘리고 활동이 많은 여름에 오히려 기운을 돕기 위해 삼계탕과 보신탕을 먹어 왔다”며 “활동이 많은 여름에는 당연히 기운을 보태는 보약을 먹어서 땀으로 배출된 에너지를 보충시키는 것이 이치에 맞다”고 말했다. 기운이 살아나야 활동이 수월하고 땀도 덜 흘리게 된다는 게 그의 설명.
여름에는 인체의 모든 기능이 왕성해지고 혈액순환이 어느 계절보다 좋아진다. 겨울에 심하던 신경통이나 근육통은 여름이 되면 많이 호전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때문에 신경통, 근육통, 관절염 등의 각종 통증 질환 치료는 여름에 하는 것이 효과가 빠르다. 가령 겨울에 먹는 한 제(20첩)의 효과보다 여름에 먹는 반 제(10첩)의 효과가 뛰어나다. 기타 대부분의 질환도 역시 여름에 약효가 좋다. 일년 중 가장 신진대사가 잘 되기 때문이다. /도움말=광명시 동암한의원 김복순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