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8곳을 포함한 수도권 신규 택지개발 후보지 최초 유출자는 도에 파견돼 근무 중인 국토교통부 소속 공무원인 것으로 밝혀졌다.
경기도는 10일 “도의 1차 자체조사 결과 신창현(더불어민주당·의왕과천) 의원실이 공개한 ‘수도권 미니 신도시 개발 후보지 관련 LH공사 내부 정보’의 최초 유출자가 경기도청 공무원이 아닌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유출 당사자는) 경기도에 파견된 국토부 소속 직원”이라며 “8월말쯤 신 의원에게 LH의 공공택지개발계획 요약자료를 SNS로 전달한 것으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최초 유출 당사자로 지목된 A씨(서기관)는 지난 4월23일부터 도청에 파견 근무중이다.
A씨는 “지난달 24일 국토부와 도, LH, 경기도시공사 등 관계 기관 회의에서 택지개발 후보지 자료를 받았다”며 “이후 이를 도청 사무실로 가져왔는데 2∼3일 뒤 신창현 의원실에서 자료를 보내달라는 연락이 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신 의원이 과천 지역구 의원인 데다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이어서 업무 협조를 받고 행정을 적극적으로 처리한다는 차원에서 전체 자료가 아닌 개발 후보지 리스트만 사진으로 촬영해 보내줬다”고 설명했다.
이어 “신 의원과는 전혀 알지 못하는 사이로 LH 쪽에 관련 자료를 요청하려고 하니 리스트만이라도 보내달라고 요구해 리스트 사진만 보내 주게 됐다”며 “사진을 보낼 때도 이 리스트가 수도권 미니신도시 개발 예정지인 줄 몰랐다”고 덧붙였다.
A씨는 국토부 소속으로 징계 권한은 국토부에 있다.
국토부는 이날부터 경기도청에서 자료 유출에 대한 감사를 시작했다.
앞서 도는 지난 8일 해명자료를 통해 “최초 유출자가 경도청 공무원이라고 한 일부 언론보도는 사실이 아니다”라며 관련설을 부인했다./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