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대 안산병원 신철 교수 연구팀은 최근 중등도 이상의 수면무호흡증이 중장년층에서 제2형 당뇨병 발생의 독립적 위험인자임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고려대학교 인간유전체연구소(연구소장 신철)에서 진행하는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의 대단위 코호트 중 하나인 안산 코호트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남녀(평균 59세) 1216명을 8년간 추적 관찰했다.
대상자를 ▲정상군 ▲경증도 수면무호흡군 ▲중등도 이상 수면무호흡군으로 분류하고 수면무호흡증과 제2형 당뇨병 발생 위험 사이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중등도 이상의 수면무호흡군은 정상군에 비해 제2형 당뇨병 발병위험이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등도 이상 수면무호흡증이 제2형 당뇨병 발병의 독립적인 위험인자인자로서, 중장년층에서 수면무호흡증의 적극적인 치료가 제2형 당뇨병 예방을 위한 근본적인 방법 중 하나임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신철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대규모 코호트 기반 연구로, 중등도 이상 수면무호흡증이 제2형 당뇨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장기간 추적 관찰했다”며 “수면무호흡증이 제2형 당뇨의 발생의 잠재적인 위험요인이며 수면무호흡증의 치료가 제2형 당뇨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음을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신 교수는 이어 “향후 양압기를 이용한 중등도 이상의 수면무호흡증의 치료 효과에 대해 좀 더 심도 있는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최근 유럽호흡기학회 학술지 ‘ERJ 오픈 리서치(Open Research)’에 게재됐다.
[ 경기신문 = 정경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