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넷은행에서 대출을 받은 20대 고객의 연체율이 최근 급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김현정(민주·평택병)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인터넷전문은행 가계신용대출’ 관련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 케이뱅크에서 신용대출을 받은 20대 이하의 연체율은 4.05%였다.
이는 지난해 말(3.77%) 보다 약 0.28%p 오른 것이고, 3년 전인 2021년 12월 말(1.76%)에 비하면 2.29%p나 상승한 수치다.
다른 연령대를 보면 8월 말 기준 30대(1.98%), 40대(1.63%), 50대(1.86%) 등 1%대여서 20대 이하와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런 추세는 다른 인터넷은행에서도 드러났다.
카카오뱅크의 8월 말 기준 20대 이하 신용대출 연체율은 2.09%로, 전체 연령대 평균인 1.03%의 2배 이상을 기록했다 .
2021년 말 0.45%였던 20 대 이하 신용대출 연체율은 2022년 말 1.41%, 지난해 말 1.73%에서 올해 들어 7월(2.00%) 이후 2%대를 기록 중이다.
토스뱅크에서도 20대 이하 신용대출 연체율은 8월 말 기준 1.75%로 2022년 말(1.48%) 보다 상승했다.
특히 3사 중에서 케이뱅크의 20대 연체율이 타사의 2배 이상을 기록한 것은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 연계계좌 보유고객의 비중이 높은 영향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인터넷은행 3사의 8월 말 기준 신용대출 연체액은 3천 944억 원으로, 3년 전인 2021년 말(675억 원)에 비해 약 484% 증가했다.
20대 이하 신용대출 연체액도 같은 기간 82억 원에서 443억 원으로 약 440% 수직 상승했다.
이처럼 20대 연체율이 급등함에 따라 인터넷은행의 대출 심사 관리, 청년층의 신용관리가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김 의원은 “인터넷은행의 간편한 대출 절차와 접근성은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동시에 청년들이 과도한 대출을 쉽게 받게 해 심각한 금융리스크에 빠질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청년들이 무리하게 대출받지 않도록 관리가 필요하다”며 “금융당국은 금융 교육과 상담 서비스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김재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