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걸음 수 감소 등 이상 징후를 더욱 정밀하게 감지하고 주말에도 관제사가 즉시 출동하는 등 AI 고독사 예방사업을 고도화한다.
도는 이같은 내용의 ‘2025년 AI(인공지능) 기반 고독사 예방 및 대응 사업’을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AI 고독사 예방·대응 서비스는 주1회 대상자에게 전화를 걸어 안부를 확인하고 전력·통신·상수도 사용량 데이터를 분석해 고독사 위험을 예측·대응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본격 도입됐다.
이상 징후 감지 시 복지담당자가 즉시 파악할 수 있어 신속 조치가 가능하다.
올해는 예측 방식을 보다 고도화해 스마트폰 활동 데이터와 IoT(사물인터넷) 센터를 활용한 생활 패턴 분석을 더욱 정밀하게 진행한다.
스마트폰 활동 데이터에서 걸음 수 감소 등 이상 징후가 감지되면 관제사가 즉시 연락을 취하며 일부 고위험군 가구 대상 IoT 기기를 활용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도입도 검토 중이다.
또 건강 마이데이터를 추가해 예측 정확도를 제고한다.
도는 AI 위기 알림콜 핵심 기능인 이상 징후 포착 및 확인 전화 체계를 자체 플랫폼에 내재화해 보안성과 업무 효율성을 강화한다.
주중에 한정되던 모니터링을 365일 상시 운영하고 위기 신호 감지 시 관제사가 주말에도 직접 출동하는 등 관제서비스도 확대한다.
이밖에 고독사 예방 플랫폼 고도화를 위해 당초 도와 시군에서 개별 관리했던 고독사 예방 사업 데이터를 통합 플랫폼으로 연계한다.
도는 다음 달 시군 설명회를 열어 사업 대상 시군을 확대하고 데이터 연계를 추진할 시군을 모집할 예정이다.
김기병 도 AI국장은 “도민서비스에서 AI 기술과 데이터를 활용해 상대적으로 높은 성과가 예상되는 돌봄 복지 AI 선도사업으로 고독사라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의미한 시도”라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시군별 고독사 예방사업의 데이터를 통합하는 AI 돌봄 통합 플랫폼으로써 역할을 더욱 강화해 더 많은 도민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사업 만족도 조사 결과 사업을 운영한 성남, 안산, 여주, 하남 등 4개 시 복지담당자들은 위험 가구의 조기 발견과 신속 대응으로 고독사 예방에 크게 기여했다고 응답했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