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은 6일 조국혁신당의 ‘원샷’ 오픈프라이머리 제안과 관련해 지도부 차원과 당내에서 논의된 바가 없다며 사실상 거부의 뜻을 밝혔다.
김윤덕 민주당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각 당에서 대통령 후보를 정하고 이후에 야권이 단일화 돼 정권 교체를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선을 그었다.
김 사무총장은 현재까지 당내에서 오픈프라이머리와 관련한 논의가 없었다고 주장하며 개인 의견을 전제로 이같은 입장을 알렸다.
김 사무총장은 “사무처에선 윤석열이 파면될 경우 60일 내 대선이 치러지기 때문에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들을 준비하는 것 외엔 아무것도 논의된 게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 대표가 대표로 있는 동안 당 지도부가 대선 논의를 진행한다면 (다른 후보와의) 공정성 훼손 측면에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고도 강조했다.
다만 실무적 차원에서 당의 특별 당규 결정 및 당헌·당규 정리와 선거관리위원회 구성 등에 관한 대선 준비는 이뤄져 왔다고 설명했다.
그는 “당 특별 당규에 있는 경선 방식은 국민경선과 국민참여경선 2가지”라며 “우리는 이 2가지 방식으로 경선을 진행할 수 있도록 실무적인 준비를 진행해 왔다”고 했다.
국민경선 방식은 지난 대선과 2017년 대선에 적용된 방식으로 지난 1년 동안 6회 이상의 당비를 납부한 권리당원에게 선거인단 자격을 부여하고 일정 기간 동안 선거인단에 참여할 국민에게 신청을 받아 자격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국민참여경선 방식은 권리당원과 국민이 각각 50%씩 참여해 경선을 치른다.
김 총장은 “(두 방식 모두) 우리 당에서 진행할 수 있는 경선 방식”이라며 “다만 선거인단 방식으로 하게 될 경우 일정 기간 선거인단을 모집하는 기간이 주어지는데, 이번 경선은 너무 기간이 짧아 아무리 봐도 일주일을 넘기는 건 어렵다”고 말했다.
김 사무총장은 민주당의 유력 대선 주자인 이 대표의 사임 시점이 이번주 초로 전망되는 가운데 아무래도 대표의 개인 거취 문제이기 때문에 대표 본인이 결정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