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 대표 국가어항인 ‘소래포구항’에 어항 부지 확충 등을 위한 공사가 한창인 가운데, 어민편의를 고려한 시설 설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최근 남동구가 논현동 일부 부지를 어업기반시설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자연녹지지역에서 준공업지역 등으로 토지이용계획을 변경해 줄 것을 인천해양수산청에 요청했다.
소래포구 주변은 논현택지개발 사업 등으로 2000년대부터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됐다.
하지만 이미 1970년대부터 조성돼 있던 소래포구에서 생업을 이어온 어민들에 대한 고려는 부족했다는 게 구의 설명이다.
이에 현장을 방문한 뒤 어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어구 창고와 어민회관 등 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구 관계자는 “현재 소래포구항 공사 구간 뒤쪽 부지는 옛날 그대로다”며 “포장도 안 된 상태라 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부족했던 어구 보관 창고를 만들어 미관상 문제도 해소하고, 소형 선박을 접안할 수 있는 시설도 확충하는 등 어민들의 편의를 고려해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구가 용도 변경을 요청하는 부지는 두 곳으로 논현동 66-85번지와 같은 동 66-52번지다.
특히 논현동 66-52번지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도시지역미지정’으로 규정돼 있는데, 어항구역에 해당하더라도 자연녹지에 준하는 규제를 받아 시설 사업을 하는 데 제약이 많다.
구는 이들 부지가 준공업지역 등으로 변경된다면 건폐율·용적률 등이 늘어나 시설 설치가 용이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해수청은 일단 진행 중인 공사에 집중하고 완공 후 구와 논의·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해수청 관계자는 “공사 후 남은 부지에는 어민을 위한 시설로 변경하기 위한 검토도 하고 있다”며 “어민들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려 한다”고 말했다.
한편 소래포구항 건설공사는 지난 2022년 3월 착공에 들어갔다. 오는 2026년 11월 완공을 목표하고 있으며 지난 3월 기준 공정률은 약 40%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지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