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와 경제과학진흥원은 경기북부 신성장 동력 창출과 그린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 농업부산물을 활용(업사이클링)해 뷰티·헬스케어 기능성 소재 개발 사업을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농업부산물 업사이클은 농업·농식품 분야 폐기물에 생명공학기술을 접목해 농가의 환경적 처리 부담을 낮추고 농업부산물을 자원화해 경제적 가치를 재창출하는 것이다.
도와 경과원은 이번 사업을 통해 대부분 소각·폐기되는 연간 농업부산물 1000만 톤을 재활용해 지역 순환경제 구축과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앞서 올해 초 도와 경과원은 고추, 콩줄기, 커피박, 잣 껍질 등 연천, 포천, 가평, 고양 등에서 업사이클 소재를 일부 확보했다.
도는 지난 24일 연천과 고양에 소재한 바이오기업을 찾아 산업화 가능성이 높고 혈당 개선 헬스케어 소재로 효능이 입증된 연천 율무 미강의 활용 가능성을 논의했다.
도는 향후 북부지역 5개 시·군에서 다양한 업사이클 자원을 추가로 확보한 뒤 기능성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바이오소재 등으로 산업화 가능성을 적극 모색할 계획이다.
소재개발은 ▲소재 수요조사·확보 ▲소재 추출물 제조 ▲유효성 평가·유휴소재 발굴 ▲유효소재 주요성분 연구 ▲특허 출원·등록 ▲기술 기업 이전·제품화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도는 연천, 포천, 가평, 의정부, 고양 등 5개 시·군과 농가, 연구기관, 기업 등과 협업을 통해 기능성 검증, 성분 분석, 원료 표준화 등 주기적 연구개발(R&D)과 사업화를 지속 확대한다.
엄기만 도 바이오산업과장은 “경기북부의 특화된 자원을 활용해 뷰티·헬스케어 산업을 육성해 친환경 바이오소재 산업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경기북부 산업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성장을 견인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