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세권’ 평택·이천·용인 미분양 속출…“산업단지도 수요 못 살렸다”

2025.05.20 10:00:51 5면

경기도 미분양 1만 3000호 육박
정부 대책서도 제외돼 ‘무방비’

 

‘반도체+역세권’을 앞세워 주목받던 경기도 남부 주요 도시들이 미분양 위기에 빠졌다. 평택·이천·용인 등 이른바 ‘반세권(반도체+역세권)’ 지역이 주택 공급 확대에도 불구하고 실수요가 뒷받침되지 않으면서 일부 지역은 미분양 ‘무덤’이 될 수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된다.

 

20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3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6만 8920호에 달했다. 이 중 경기도가 1만 3527호(19.6%)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미분양 물량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평택시의 미분양 주택은 5281호로 경기도 전체에서 가장 많았고, 이천시(1610호), 용인시(474호) 등 반도체 산업단지가 인접한 지역들이 상위권에 올랐다.

 

이들 지역은 그동안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대기업 반도체 공장과 클러스터 개발 계획을 앞세워 ‘미래 가치’를 강조해 왔지만, 정작 수요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며 공급 과잉에 따른 후폭풍을 맞고 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경기도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023년 12월 2072호에서 올해 3월 2280호까지 늘었다.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평택시는 올해 적정 수요보다 약 6300가구 이상 초과 공급이 예상된다. 지난해에도 3686가구가 초과 입주했으며, 올해는 9368가구 공급 예정 중 적정 수요(3003가구)를 2배 이상 웃도는 공급이 예정돼 있다.

 

이천도 사정은 비슷하다. 올해 입주 예정 물량은 5065가구로, 적정 수요(1113가구)의 4.5배에 달한다.

 

청약 시장도 얼어붙었다. 용인시 처인구 일대 반도체 클러스터 예정지에서 분양한 ‘힐스테이트 용인마크밸리’는 599가구 모집에 278명만이 신청해 전 타입 1순위 마감에 실패했다.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2·3단지’도 총 1841가구 모집에 898명만이 통장을 접수했다.

 

문제는 이처럼 수도권 내에서 미분양 문제가 심각한데도, 정부의 미분양 해소 대책이 ‘지방’에만 국한돼 있다는 점이다. 

 

정부는 지난 2월 ‘지역 건설경기 보완방안’을 통해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를 직접 매입하겠다고 밝혔고, 7월부터 시행되는 3단계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 역시 지방과 수도권을 차등 적용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업계에서는 미분양 해소 정책이 지역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고하희 대한건설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평택이나 이천 같은 지역은 서울 외곽보다 더 지방적인 특성을 갖고 있음에도 ‘수도권’이라는 이유로 정부 지원 대상에서 빠져 있다”며 “지방·수도권이라는 이분법적 기준보다는, 지역별 수요·공급 여건과 시장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오다경 기자 moon@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흥덕4로 15번길 3-11 (영덕동 1111-2)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