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안산선 공사현장 붕괴 사고가 발생한 지 한 달이 지난 가운데 정부와 관련 기관의 보상과 재발 방지 대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임오경(광명갑)·김남희(광명을)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박승원 광명시장, 광명경실련, 광명피해주민은 20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촉구했다.
이들은 “광명시민들은 아직도 신안산선 공사 현장 붕괴 참사의 가시지 않은 충격과 피해 속에 신음하고 있다”며 “정부와 정치권은 광명시민의 고통에 귀를 기울여 달라”고 토로했다.
사고 현장 인근 광명 구석말 주민들은 사고 재발 위험에 따른 대피 명령으로 주거지를 두고 나와 숙박업소를 전전하며 여전히 일상으로 복귀하지 못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또 인근 자영업자들은 현재 영업이 불가능한 상황이며, 인근 주민들 사이에선 사고 재발 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병식 구석말 피해 상가부위원장은 정부와 시공사인 포스코이앤씨에 “조속·공정한 피해 보상과 주거 대책, 붕괴사고 주변 구석말 마을 지반에 대한 특별 안전진단 등을 요청한다”고 했다.
이태현 피해주민 대표는 “국회 청문회 개최, 붕괴 사고 원인 규명 전까지 공사 전면 중단, 붕괴 환풍구 재시공 반대, 공사현장 인근 소음·분진 관리 등을 요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임오경 의원은 “지하공사설계기준, 입찰관리 문제와 관리감독 문제 등에 대한 전면적 재점검을 실시하고 지반유출 가능성에 대비한 공법변경 미이행, 계측기 불량, 국토안전관리위원회의 잘못된 환경영향평가도 감사하라”며 “은근슬쩍 넘어가려 한다면 좌시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김남희 의원은 “지금까지 조사 결과를 종합해볼 때 사전 안전관리의 부실이 핵심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며 “지하안전특별법을 개정하고 정밀 지반조사와 지하수유출 관리 의무를 강화하며 주기적인 안전 점검을 법적으로 의무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지금 주민들께서 가장 크게 걱정을 하고 있는 것은 일상이 다 무너졌기 때문에 선(先)피해 보상을 통한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게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거듭 강조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한주희 수습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