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추진하는 백령·대청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 절차가 막바지 단계에서 제동이 걸렸다.
북한이 유네스코(IGGP)에 서면으로 반대 의견을 제출했기 때문이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22일 오후 3시쯤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의 반대로 백령·대청 일대를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받기 위한 절차가 방해받고 있다”며 “이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북한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 신청서에 대한 회원국 공람 및 이의신청 기간 마지막 날인 지난 19일 서면 이의신청을 통해 반대 입장을 통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 인해 백령·대청 일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 절차는 북한과의 협의가 이뤄지기 전까지 사실상 중단된 상황이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운영 지침에 따르면 회원국이 이의 신청을 할 경우 더 이상 과학적 평가 작업을 진행하지 않고 관련 당사국들이 해결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시는 지난해 11월 29일 유네스코에 백령·대청·소청도 육상 66㎢와 주변 해상 161㎢에 대한 국제적 가치 규명, 인프라 구축, 주민 협력 등의 내용을 담은 신청서를 제출한 바 있다.
다음 달에는 유네스코 현장실사 일정이 예정돼 있었다.
북한의 이의신청 내용이나 이유에 대해선 아직 파악되지 않고 있다. 이날 시는 유네스코에 이의제기 내용에 대한 확인을 요청했다.
다만 시는 북한이 북방한계선(NLL) 무력화 의도를 가지고 이의신청을 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한민국은 NLL을 기준으로 서해 해역을 관리하고 있지만 북한은 이 같은 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현재 국내에 지정된 세계지질공원은 모두 7곳으로, 이의 신청에 의해 지정 절차가 중단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유 시장은 “북한은 연평해전·대청해전을 비롯해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공격으로 NLL 무력화를 위한 도발을 끊임없이 감행하며 긴강감을 높여가고 있다”며 “이 문제에 대해 북한은 분명한 입장을 밝혀달라”고 촉구했다.
이어 “NLL은 80여 년간 지속돼온 대한민국 해상영토”라며 “필요하다면 직접 북한 당국과 만나 해결방안을 논의하겠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지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