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화군이 옛 강화대교에 설치돼 있는 상수도·도시가스·농업용수 공급시설을 강화 제3대교 하부에 ‘공동구(common duct)’로 설치할 것을 국토교통부에 요구하고 나섰다.
옛 강화대교가 지어진 지 55년이 넘어 안전을 담보할 수 없어, 자칫 사고가 발생해 상수도·도시가스·농업용수 등 공급이 끊길 경우 강화 주민들의 피해가 클 수밖에 없다는 우려에서다.
실제로 옛 강화대교는 지난 2018년 안전진단 평가 결과 ‘C등급’이 나온 뒤로 현재 같은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강화군 강화읍과 김포시 월곶면을 잇는 옛 강화대교는 차도 7m·보도 3m 등 폭 10m에 연장 694m 규모로 1969년 준공됐다.
이후 1997년 지금의 강화대교가 지어지면서 이듬해인 1998년 1월부터 차량 통행이 멈췄다.
지금은 상수도·도시가스·농업용수 공급시설 기능만 하고 있다.
섬 지역인 군 특성상 교량이 노후해 공급이 안정적이지 못하면 생활 불편은 물론 재난에도 위협받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강화군은 신설되는 강화 제3대교 하부에 공동구 설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근 박용철 강화군수는 국토교통부·한국도로공사 관계자와 ‘제3대교 포함된 계양~강화 고속도로 종점부 개선 대책’ 간담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건의했다.
공동구는 전선, 수도관, 가스관, 등을 함께 수용할 목적으로 만든 길이나 지하 터널을 말한다.
제3대교는 계양~강화 고속도로 건설 사업 중 강화 구간인 7공구에 포함되는 교량이다.
7공구는 현재 기본설계를 완료하고 올해 말 착공을 목표하고 있다. 롯데건설 컨소시엄이 턴키(설계·시공 일괄 진행) 방식으로 실시설계를 진행 중이다.
군은 실시설계에 이 같은 내용이 반영될 수 있도록 협의하고 있다.
하지만 설계가 이미 진행 중인데다, 구조적으로 설치가 가능한지 여부와 공동구 설치에 따른 공사비 부담까지 넘어야 할 과제가 많다는 게 군 관계자의 설명이다.
건의가 반영될지는 미지수라는 얘기다.
윤재상(국힘·강화군) 시의원은 “대남방송이 잠잠해지긴 했지만 군민은 접경지역 주민으로서 항상 불안을 달고 산다”며 “공동구 등 인프라 설치에 정부 차원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지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