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어린이보호구역 내 보행 안전을 더욱 강화한다.
21일 시에 따르면 오는 12월까지 62곳의 어린이보호구역 내 경보등 3개와 바닥형 보행신호등 59개를 추가 설치하고, 적색잔여시간표시기 83개를 교체한다.
이 사업은 ‘시민 체감형 지속 가능한 교통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며, 소요되는 비용은 26억 원이다.
현장 맞춤형 위험 분석과 선제적 대응에 기반한 실효성 높은 교통안전 환경을 조성하는 게 목표다.
설치 대상은 만수북초, 계양초, 부곡초, 청학초 등 보행량이 많고 사고 위험도가 높은 어린이보호구역이다.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시야 확보가 어려운 지점을 우선해 시인성이 뛰어난 신호기 설치를 집중 추진한다.
시는 지난 2020~2024년 어린이보호구역 434곳에 신호등을 설치해 왔다. 지난해에도 83곳에 경보등과 바닥형 신호등을 설치한 바 있다.
더 나아가 올해는 정밀한 위험도 평가와 현장 실사를 통해 ‘선제적 대응형 안전시설’을 설치한다.
선제적 대응형 안전시설 중 하나인 경보등(노란 신호등)은 운전자에게 어린이보호구역 진입을 직관적으로 알리는 장점이 있다.
바닥형 보행신호등은 어린이 눈높이에 설치돼 신호 인지도를 높이고, 무단횡단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또 적색잔여시간표시기는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 신호 변경 시간을 예측할 수 있게 해 보행자 사고를 감소하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김인수 시 교통국장은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신호기 설치는 미래 세대의 안전한 등하굣길을 보장하는 일”이라며 “앞으로도 지역 주민, 군구, 인천경찰청, 교육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어린이 교통사고 제로화를 위해 노력해 가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지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