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시는 11일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재인증과 실효성 있는 아동정책 수립을 위한 ‘광주시 아동친화도 조사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열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용역은 아동의 시각에서 지역사회 환경과 삶의 질을 진단하고 향후 아동정책의 방향성과 우선순위를 재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보고회에는 시 아동보육과 관계 공무원과 연구진이 참석해 조사 추진 방향, 설계, 일정, 아동 참여 방안 등을 논의했다.
시는 아동, 보호자, 교육·돌봄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표준 조사와 시민 의견 조사를 병행해 진행했다.
주요 영역은 ▲놀이·여가 ▲참여·존중 ▲안전·보호 ▲보건·복지 ▲교육환경 ▲가정환경 등 6개 분양를 조사한다.
수집된 자료는 향후 아동정책 수립의 핵심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조사는 통계 수집을 넘어 아동과 시민의 의견을 ‘참여 기반 조사’로, 이해관계자의 목소리를 수렴해 실질적인 정책과 사업을 발굴하고 재인증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방세환 시장은 “아이들의 일상 속 작은 목소리에서 정책의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며 “아동의 삶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는 정책으로 이어지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2019년부터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왔으며, 관련 조례 개정, 추진위원회 구성했다. 이후 아동권리옹호관 위촉, 권리교육 시행 등을 거쳐 2022년 12월 유니세프 한국위원회로부터 인증을 받았다.
[ 경기신문 = 김태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