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찰 조직문화 개선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농린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임미애 의원이 해양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재직기간 5년 이하 해양경찰 퇴직자 수는 모두 426명이다.
통계를 보면 지난 2020년에는 37명이, 2021년에는 42명이, 2022년에는 86명이, 2023년에는 97명이, 2024년에는 107명으로 매년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다. 올해 9월까지는 57명이 퇴직했다.
이중 자발적 퇴직을 의미하는 의원면직 퇴직자 수는 지난 2020년 36명, 2021년 34명, 2022년 78명, 2023년 90명, 2024년 99명, 올해 9월까지 44명 등으로 퇴직자의 대다수를 차지했다.
이들의 평균연령은 2020년 30.9세, 2021년 33.7세, 2022년 32.9세, 2023년 34세, 2024년 33.5세, 2025년 9월 기준 32.1세 등이다.
지난 5년 동안 젊은 세대의 인력 이탈이 끊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MZ 세대가 해양경찰청 조직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배경으로 해양경찰청의 엄격한 상명하복 문화와 수직적 의사결정, 연공서열 중심의 평가 및 보상 체계가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실제로 MZ세대 근무자 119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75%에 달하는 89명이 해양경찰 조직문화의 특징으로 위계지향적 문화를 꼽았다.
또 조직문화의 적응이 어려운 이유를 꼽는 조사에서는 수직적 의사결정 및 상명하복 중심의 운영이 37%(44명), 기성세대 중심 운영으로 인한 세대 간 소통 부족이 30%(36명), 성과 중심이지만 공정하지 않은 평가 및 보상 체계가 18%(21명) 순으로 나타났다.
임미애 의원은 “불법 외국 어선 증가 및 해적, 마약 등 해양 범죄 증가로 해양경찰의 역할이 중요해 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신규 인력의 지속적인 유출이 이어진다면 조직의 기능이 약화될 수 있는 만큼 근무환경 등 조직문화를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이현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