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 교통, 후 입주’ 방침을 내세운 3기 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이 절반 이상 지연되거나 연기되면서 내년부터 입주가 이뤄지는 3기 신도시에 교통대란이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13일 염태영(민주·수원무)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고양창릉·남양주왕숙·부천대장·인천계양·하남교산 등 3기 신도시 5곳의 광역교통개선대책 82개 중 42개(51.2%)가 지연·변경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오는 2026~2030년 3기 신도시에 공급되는 공급주택 물량(공공 공급 기준)은 10만 8808호다.
내년 1285호를 시작으로 2030년까지 8304호가 입주하는 인천계양은 광역교통개선대책 9개 시설 중 8개(88.9%)가 지연·변경됐다.
당초 내년 개통을 목표로 했던 국토 39호선(벌말로) 확장 사업은 오는 2031년에나 실개통이 이뤄질 전망이다.
오는 2027년부터 2030년까지 공공주택 1만 호가 공급되는 부천대장도 15개 시설 중 14개(93.3%)가 지연·변경됐다.
올해 개통 예정이었던 경명대로 신설사업과 오정로 확장의 경우 각각 2032년, 2029년에 실개통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다른 3기 신도시의 광역교통개선대책 지연율은 남양주왕숙 47.4%, 고양창릉 31.6%, 하남교산 25% 등이다.
염태영 의원은 입주까지 7~8년, 교통 인프라 완성까지 최소 15~20년 걸리는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염 의원은 “3기 신도시가 선 교통, 후 입주를 목표로 한다지만 현재로서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철도와 도로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행정절차를 통합하고 간소화함으로써 최대한 앞당기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한주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