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500억 달러(약 501조 원) 규모의 대미(對美) 투자 협상과 관련해 “현재 한미 양국은 통화스와프보다 투자 구조 설계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22일(현지시간) 공개된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등 미국 당국자들도 대규모 선(先)투자 방식이 한국 외환시장에 충격을 줄 가능성을 인식하고 있다”며 “미국 측도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이번 발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주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방한하기 직전에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각각 양자 회담을 갖고 통상 및 투자 의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구 부총리는 “한국은 직접투자·대출·보증이 혼합된 균형 잡힌 투자 패키지를 구상 중”이라며 “아직 세부 협의가 진행 중이라 구체적 구성비는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또 “통화스와프의 필요성과 규모는 전적으로 투자 구조에 달려 있다”며 “필요 없을 수도, 소규모로 추진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블룸버그는 구 부총리의 발언에 대해 “통화스와프가 협상의 걸림돌이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며 “한국이 이를 협상 카드로 활용해 일정한 협상력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한미 양국은 이미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합의 큰 틀에는 공감대를 이뤘으나, 투자 방식과 수익 배분을 둘러싼 이견으로 막판 조율이 이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미국의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가 여전히 유지되고 있으며, 한국 완성차 업계는 일본에 비해 불리한 위치에 놓여 있다. 일본은 새 협정을 통해 15% 관세만 적용받는다.
구 부총리는 “트럼프 대통령과 미 정부에 한국 자동차 업계의 불리함을 여러 차례 제기했지만, 미국 측은 아직 수용적이지 않다”며 “협상단이 끝까지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외환시장 불안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구 부총리는 “최근 원화 약세는 한미 투자 협정이 마무리되지 않은 데 따른 불안감을 반영한 것”이라며 “관세 문제가 해결되면 불확실성도 완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화는 달러당 1,432.55원 수준에서 거래됐다. 그는 “미 재무부 관계자들도 원화 약세를 수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의도적 조치로 보지 않고, 한국의 어려운 상황을 이해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구 부총리는 “정부는 원화의 24시간 거래체계를 조속히 도입해 시장 접근성을 높이고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할 것”이라며 “이는 MSCI 선진국지수 편입을 위한 핵심 선결 과제”라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