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월세 대란의 여파로 도내 대학가에서도 학생들 방 구하기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가 추진키로 했던 도내 대학 민자기숙사 건립 지원사업이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사실상 중단됐다.
특히 도내에서 지어진 대학 민자기숙사가 110만원에서 많게는 130여만원에 달해 당분간 고액 민자기숙사는 지속될 전망이다.
2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해 4월 이 같은 방침을 정하고 2011년 본예산에 120여억원을 확보할 계획이었지만, 도 예산 입안과정에서 전액 삭감됐다. 이에 따라 오는 4일부터 열리는 추경예산에도 단 한푼도 반영시키지 못해 연내 사업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됐다.
도는 당초 대학들의 등록금 인상과 기숙사 시설 부족으로 인해 학부모들과 학생들의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해 사업을 추진키로 했었다.
더욱이 대학들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기숙사(50만원~70만원)비용보다 민자기숙사(110만원~130여만원)비용이 많게는 2배~3배가량 높아 학부모들과 학생들 사이에선 ‘명품 기숙사’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민자 기숙사 지원은 대학이 부지를 제공하고, 도와 시·군은 건설비 일부를 지원하는 한편 경기도시공사가 지분 일부를 참여하는 방식이 유력하게 검토됐었다.
도는 민자기숙사 건립 지원으로 학생들이 저렴한 수준에서 기숙사를 이용하고 주거문제를 해결하도록 할 계획이었다. 도는 사업 추진이 원할 할 경우 올해부터 학생 1인당 연간 60만원 정도 범위에서 지원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었다.
경기도 관계자는 “사실상 올해부터 추진키로 했던 민자기숙사 건립 지원사업이 예산확보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현재 경기도시공사와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내년 예산을 확보하는 대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내에는 26개 시·군에 72개의 대학(대학원·대학·전문대학)에 27만여명의 대학생이 재학(2009년 말 기준)하고 있으나, 기숙사 시설은 1만6천여실에 4만3천여명 밖에 수용할 수 없어 입주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