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詩산책]岳陽樓 올라

2012.06.12 19:53:12 13면

 

석문동정수(昔聞洞庭水) 예로부터 들어오던 동정호 맑은 물

금상악양루(今上岳陽樓) 오늘에야 악양루에 올라 보노라

오초동남탁(吳楚東南坼) 오나라 초나라 동남으로 갈라졌고

건곤일야부(乾伸日夜浮) 일월은 밤낮으로 물 위에 떠 있어라

친붕무일자(親朋無一字) 친척과 벗들은 한 자 소식도 없는데

노병유고주(老病有孤舟) 늙어서 병든 몸 외딴 배에 실렸노라

융마관산북(戎馬關山北) 관산의 북쪽엔 전란이 계속되매

빙헌체사류(憑軒涕泗流) 난간에 기대어 눈물을 흘리노라

- 杜甫 (두보)

두보를 좋아해서 옥편을 들춰가며 제일 처음으로 읽은 시입니다. 빙헌체사류 <눈물 콧물 함께 흐른다>는 원문해석을 두고 오래 생각에 잠긴 적 있습니다. 왜 두보는 콧물을 말했는데, 우리 선조들은 콧물을 빼었을까. 중국사람들은 원문 그대로 읽을텐데 오래도록 생각을 하다가 깨달았죠. 자의적으로 콧물을 빼 버린 건 아닐까. 눈물 콧물 뒤범벅된 모습이 늙고 병든 두보의 말년에 아주 적절히 어울리는데 말이죠.우리민족이 가지고 있는 정신세계의 단면을 읽었다고 생각했습니다.

/조길성 시인
경기신문 webmaster@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974-14번지 3층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