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24일 북한 리용호 외무상의 유엔 총회 기조 연설 관련해 한 목소리로 강력히 성토했다.
더불어민주당 백혜련 대변인은 서면 논평에서 “국제사회를 상대로 대놓고 협박하겠다는 것으로, 변화 없는 북한의 태도는 국제사회로부터 외면과 고립만 자초할 것”이라고 밝혔다.
백 대변인은 “평화와 인권, 국제 협력 등을 논의하는 유엔 총회에서 원색적인 막말과 비방만 늘어놓으며 평화를 위협하는 연설에 대해 북한은 국제사회에 사과해야 할 것”이라며 “북한은 핵 개발의 당위성을 역설하려 했지만, 국제사회는 북한의 주장을 명분 없는 궤변으로 판단해 어떠한 동조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자유한국당 강효상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한반도뿐만 아니라 전 세계를 향한 협박”이라며 “이러한 도발은 북한 공산정권의 완전파괴만 부를 뿐”이라고 경고했다.
강 대변인은 “핵 개발이 정정당당한 자위적 조치라는 북한의 적반하장식 주장에 국제사회는 치를 떨고 있고, 문명사회는 이러한 북한의 위협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바른정당 전지명 대변인도 논평에서 “스스로 무덤을 파는 격”이라며 “북한이 국제사회와 한판 대결이라도 붙겠다는 듯 막무가내로 치닫고 있다”고 비판했다.
전 대변인은 “특히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결의를 위반한 당사자가 이를 거부하고, 핵무기 보유의 정당성을 주장한다는 것은 억지와생트집에 불과한 적반하장의 극치”라고 밝혔다.
국민의당 손금주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유엔총회가 강대강 대치의 장이 됐다”며 “북한과 미국의 충돌 가능성에 대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손 수석대변인은 “북한과 미국의 극단적 단어들을 동원한 경고와 위협이 점점 도를 넘어서고 있다”며 “설전이 우발적인 도발과 물리적 충돌로 이어지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라고 말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