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공공기관의 인사도 인공지능(AI)을 통해 실행될 전망이다.
인사혁신처는 23일 AI 기반의 인사정책지원 플랫폼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이 플랫폼은 정부 부처내 실·국장, 과장 등의 직위에 적합한 맞춤형 인재를 과학적으로 분석·추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역량 있는 우수 인재를 적소에 배치하기 위한 인공지능형 인재추천 식별 및 지원체계라고 인사혁신처는 설명했다.
특히 이 플랫폼은 특정 직위의 직무 활동과 그 직위에 맞는 성과 등 직무요건을 정의한다.
현재는 A국장직에 필요한 인사를 발령하기까지는 해당 직위에 필요한 직무수행 요건을 정리하고, 평판과 근무경력 등을 통해 적합한 인물을 추천한 뒤 인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친다.
그러나 지능정보형 인사플랫폼을 활용하면 AI가 A국장직 업무 관련 전자문서 등을 분석, 국장직 수행에 필요한 직무요건을 먼저 생성한다.
이후 AI가 포상이력, 직무경력 등을 종합해 A국장직에 적합한 인물을 자동으로 추천하면 추천된 사람들에 대한 검증에 이어 인사위원회 심사 후 발령이 이뤄진다고 인사처는 설명했다.
인사혁신처는 과거의 인사심사 시스템(설문, 인터뷰, 관찰 등)에 비해 시간과 예산을 절감하고, 필요할 때 즉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인사혁신처 관계자는 “지능정보 기술을 인사행정 분야에 선도적으로 적용해 기존 방식을 탈피, 정부 인사의 대국민 신뢰 확보를 위해 직위·직무 성과 중심의 인사관리 체계로 전환하고 적재적소 인사 원칙을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