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룡문]결혼과 이혼

2019.06.27 19:48:00 16면

서양은 결혼기념식에 붙이는 이름이 매우 다양하다. 1주년 지혼식(紙婚式), 5주년 목혼식(木婚式), 10주년 석혼식(錫婚式), 15주년 동혼식(銅婚式), 20주년 도혼식(陶婚式), 25주년 은혼식(銀婚式), 30주년 진주혼식(眞珠婚式), 35주년 산호혼식(珊瑚婚式), 40주년 녹옥혼식(綠玉婚式), 45주년 홍옥혼식(紅玉婚式), 50주년 금혼식(金婚式)으로 이어진다. 이 전통은 19세기 영국에서 체계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기념식을 모두 치르려면 두 사람의 건강이 뒷받침 돼야 한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두 사람이 함께 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그것이 모든 사람들에게 해당되지 않는다. 특히 “죽음이 우리를 갈라놓을 때까지 변치 말자”고 맹세하며 결혼을 하지만 ‘검은 머리 파뿌리 될 때까지’ 살려면 많은 노력이 필요해 더욱 그렇다.

결혼생활에 얼마나 많은 인내심이 필요한지 일찍이 이를 간파한 16세기 프랑스 사상가 몽테뉴는 결혼은 조롱(鳥籠)과 같다면서, 밖에 있는 새들은 그 안으로 들어가려 애를 쓰고 안에 있는 새들은 밖으로 나가려고 애를 쓴다고 했다.

불행한 결혼을 하지 않으려면 반려자를 신중하게 골라야 한다. 러시아에 이런 속담이 있다. “전쟁터에 나가기 전엔 한 번 기도하고, 배 타러 가기 전엔 두 번 기도하고, 결혼하기 전엔 세 번 기도하라.” 신중함에 신중함을 더해도 서로 다른 사람이 만나 사는 일이라 결혼도 굴곡이 있기 마련이다.

‘결혼과 이혼’ 사이에는 뭐가 있을까? 정답은 아들딸도 아닌 ‘과’라는 우스갯말도 있지만, 그 둘은 백지 한 장 차이에 지나지 않는다.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혼인지속기간이 20년 이상인 부부의 이혼이 3만6천300건으로 전년에 비해 9.7% 늘었다. 혼인지속기간이 30년을 넘는 이혼 건수(1만3천600건)도 10년 전보다 1.9배 급증했다.

전체 이혼건수는 더하다. 올 4월 이혼은 9천500건으로 전년 동월(8천700건)보다 9.2% 늘었다. 엊그제 ‘세기의 커플’로 주목을 받았던 배우 송중기와 송혜교가 1년 8개월만에 이혼 절차를 밟고 있다고 해서 화제다. 알다가도 모를 관계, 역시 ‘부부’인가?

/정준성 주필
경기신문 webmaster@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974-14번지 3층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