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아진 '취업문'…대학생 10명 중 7명 사실상 구직 단념

2021.10.12 11:15:13

한국경제연구원 실태 조사…58.6% "작년보다 취업 어려워"

좁아진 '취업문'으로 인해 대학생 10명 중 7명이 사실상 구직을 단념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2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지난 8월 12일부터 9월 6일까지 대학생 2천7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대학생 취업인식도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5.3%가 사실상 구직 단념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 단념 상태는 구직활동 실태 응답 중 '거의 안함'(33.7%), '의례적으로 하고 있음'(23.2%), '쉬고 있음'(8.4%)을 합한 수치다.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는 응답 비중은 10명 중 1명꼴인 9.6%에 불과했다.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자신의 역량, 기술, 지식 등이 부족해 더 준비하기 위해서'가 64.9%로 가장 많았고 이어 '전공 또는 관심 분야의 일자리가 부족해서'가 10.7%, '구직활동을 해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할 것 같아서'가 7.6%, '적합한 임금수준이나 근로조건을 갖춘 일자리가 부족해서'가 4.8% 등의 순이었다.

 

또 응답자의 58.6%는 올해 대졸 신규채용 환경이 작년보다 어렵다고 답했고, 42.7%는 올해 하반기 취업 환경이 상반기보다 더욱 악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인한 취업 준비과정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채용 기회 감소로 인한 입사 경쟁 심화'(29.3%), '체험형 인턴 등 실무 경험 기회 확보 어려움'(23.9%), '불안감, 우울함 등 심리적 위축 가중'(18.2%) 등을 꼽았다.

 

올해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는 대학생들은 평균 6.2회 입사 지원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류전형 합격 횟수는 평균 1.6회로, 서류전형 합격률은 평균 25.8%였다.

 

올해 입사 지원 횟수를 보면 1~5회 60.2%, 6~10회 14.2%, 11~15회 6.1%, 16~20회 5.4%, 21~25회 3.4% 순으로 많았다.

 

취업을 희망하는 기업으로는 공기업이, 취업이 예상되는 기업으로는 중소기업이 각각 가장 많았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희망 기업 순위는 공기업(18.3%), 대기업(17.9%), 공무원(17.3%), 중견기업(17.1%), 중소기업(11.9%), 외국계 기업(8.6%), 금융기관(3.4%) 순이었다.

 

실제로 취업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에 대해서는 응답자 30.1%가 중소기업이라고 답했고 이어 중견기업 20.9%, 공무원 15.2%, 공기업 10.7%, 대기업 7.2%, 외국계 기업 4.4%로 나타났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중소기업 취업 예상 비중이 5.1%포인트(p) 늘었고, 공기업 비중은 5.3%p 줄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좁아지는 취업문 속에서 대다수의 청년이 자신감을 잃거나 원하는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며 "기업규제 완화, 노동유연성 제고 등으로 기업의 고용 여력을 확충하는 것이 근본적이고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수원본사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일로 8, 814호, 용인본사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974-14번지 3층 경기신문사, 인천본사 : 인천광역시 남동구 인주대로 545-1, 3층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경기, 아52557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