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로 경제교육 효과성 극대화해야”

2025.04.22 15:22:39 3면

경제교육 필요 시기·계층 ‘사회초년생·저소득층’ 꼽아
응답자 41.7% “실생활 적용 가능한 경제지식 함양 必”

 

사회초년생,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경제교육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22일 경기연구원 ‘경기도 경제교육 활성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8~69세 도민 1013명 중 91.3%는 ‘경제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경제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실생활에서 중요한 경제적 의사결정(71.5%)’, ‘개인 경제적 안정과 발전(67.9%)’, ‘경제 여건과 상황의 변화(61.3%)’, ‘경제·금융 피해 예방(52.1%)’으로 집계됐다.

 

경제지식 습득 경로는 1+2+3순위 응답 기준으로 ‘온라인 매체(57.4%)’, ‘방송 매체(53.0%)’, ‘소셜미디어(48.7%)’ 순으로 디지털 채널을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교육이 필요한 시기로는 1+2+3순위 응답 기준 ‘사회초년생 시기(77.0%)’, ‘청소년기(70.8%)’, ‘대학생 시기(52.9%)’로 나타났다.

 

경제교육이 가장 필요한 계층으로는 1+2+3순위 응답 기준 ‘저소득층(82.6%)’, ‘한부모가정(56.9%)’, ‘소상공인(51.9%)’, ‘다문화가정(38.6%)’ 순이다.

 

특히 전세사기나 금융사기, 불법사금융 피해 이후 경제교육의 필요성을 느꼈다고 답한 비율은 83.0%에 달했지만 이수 경험은 32.1%에 그쳤다.

 

41.7%는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경제 지식 함양’을 경제교육 기관의 목표로 꼽았다.

 

연구원은 도 경제교육의 전략으로 ▲실생활 밀착형 경제교육 ▲평등한 교육 기회 제공 ▲체계적인 경제교육을 도출했다.

 

실생활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 내용을 중심으로 생애주기별 경제교육을 구성하고 온라인 플랫폼, AI 등 디지털 기술 기반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의 도입 필요성도 제시했다.

 

취약계층을 대상으로는 경제교육 거버넌스 강화, 교육자료 표준화, 효과성 평가 도입 등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체계 마련도 요구됐다.

 

한미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도에서 모든 경제교육을 직접 수행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경기지역경제교육센터 등 외부 기관과 협력을 강화해 효율적 제교육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

이유림 기자 leeyl7890@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흥덕4로 15번길 3-11 (영덕동 1111-2)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