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관성 부족한 교육 정책들로 학교 현장이 혼란을 겪고 있는 가운데 대입과 직결된 고등학교 학생들은 진로 고민을 가중시키는 '고교학점제' 정책으로 진땀을 빼고 있다.
13일 경기신문 취재에 따르면 교육당국이 추진 중인 고교학점제는 현행 입시제도와 맞지 않아 오히려 학생들의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진로, 적성보다는 대입 전형을 고려해 과목 선택을 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기존 수행평가 등 학교 생활에서 진로 적성을 드러내야 하는 상황과 맞물려 학생들에게 일종의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 지역 고등학생 김모 양(18)은 "보통 수시 준비를 위해서는 자신이 가고 싶은 분야를 정해 생활기록부를 채워나가야 하지만 정작 학생들은 진로가 바뀌고 아직 명확히 하고 싶은 일을 찾지 못한 경우가 많다"고 토로했다.
이어 "이 같은 상황에서 도입된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에게 진로 선택의 부담을 가중시키고만 있다"고 지적했다. 진로 계획을 변경하면 수시 전형에 불이익이 있을지 모른다는 우려가 학생들 사이 만연한 상황에서 고교학점제의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는 것이다.
또 지난해부터 각 대학들이 입학 후 전공을 선택할 수 있는 '무전공' 선발을 확대하고 있는 시점에서 고교학점제는 교육 정책 흐름에 맞지 않는 정책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오히려 학생들이 충분한 경험과 정보 아래 자신의 전공과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무전공 선발과 비교해 고등학교 재학 중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고 그에 맞는 과목을 선택해야만 하는 고교학점제가 교육 정책을 퇴보시킨다는 목소리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또 다른 경기 지역 고등학생은 "당장 주변만 봐도 진로를 바꾸는 것이 생활기록부 등으로 인해 대학 입시에 지장이 갈까 봐 우려하는 친구들이 많다"며 "진로에 대한 충분한 고민이 필요한 시기인 만큼 이런 부담을 덜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역행하는 고등학교 교육 정책으로 인한 학생들의 어려움을 덜어 줄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는 등 불협화음을 내는 교육 제도에 대해 정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수원의 한 고등학교 교사 A씨는 "학생들을 상담하다 보면 성적에 대한 고민보다 많은 것이 진로 선택의 어려움"이라며 "불협화음을 내는 교육 정책들로 피해를 입는 것은 온전히 학생들인 만큼 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