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상륙작전을 국가 기념일로 지정하는 방안이 무산됐다.
17일 시에 따르면 인천상륙작전일(9월 15일)을 지난달 공포된 ‘인천시 각종 기념일 조례’에 따라 자체 기념일 중 하나로 지정했다.
앞서 시는 지난해 6월 국방부와 국가보혼부에 인천상륙작전일을 국가지정일로 지정해 달라는 건의문을 전달했다.
인천상륙작전이 대한민국의 자유를 지킨 역사적 전환점인 동시에, 국제 연대의 상징이라는 점에서 국가기념일로 지정할 만한 의미와 공익성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국군과 연합군이 함께한 작전인 만큼, 세계인이 함께하는 자유와 평화 수호의 날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국방부와 국가보혼부는 인천상륙작전일의 국가기념일 지정을 두고 부정적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상륙작전 외에도 낙동강전투, 춘천지구전투 등 ‘한국전쟁 3대 전투’ 가운데 특정 전투만 국가기념일이 된다면 형평성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는 이유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는 ‘인천시 각종 기념일 조례’를 통해 우선 시 기념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해당 조례에는 인천상륙작전기념일을 포함해 인천국제공항 개항일(3월 29일), 인천 5·3 민주항쟁 기념일(5월 3일), 인천경제자유구역의 날(8월 11일) 등 13개 기념일이 지정됐다.
시 관계자는 “인천상륙작전은 한국전쟁의 전세를 반전시킨 유일무이한 작전으로써 다른 작전 및 전투와는 구별되는 의미가 있다”며 “국가기념일 지정을 중장기 과제로 삼아 정부와 계속해서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상륙작전은 지난 1950년 9월 15일 한·미·영 등 8개국 261척의 함정이 투입돼, 북한군의 측면을 공격에 90일 만에 서울을 수복하는 등 한국전쟁 전세를 뒤바꾼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 경기신문 / 인천 = 이현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