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인공지능 등을 활용해 시민 목소리를 24시간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16일 시 도시계획과 정책연구팀에 따르면 이 성과는 공무원 정책 아이디어 경연대회에 출품된 ‘시민과 소통하는 생활 인천 방법론 개발’ 과제를 통해 나왔다.
그동안 시는 도시계획을 수립하는 데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담기 어려웠다. 시민참여 절차가 오래 걸리는데다 공청회·주민공람 방식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연구팀이 휴대전화·컴퓨터·정보무늬(QR코드) 등 다양한 기기와 채널을 통해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디지털 기반 시민 참여 모델을 고안한 것이다.
먼저 시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했다.
시민들이 자주 이용하거나 필요로 하는 생활시설 분포를 시각화하고 응답이 집중된 지역을 ‘핫 플레이스(Hot place)’로 분석했다.
이어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객관식·주관식 응답을 종합하고, 생활권·읍면동 단위별로 ‘Top 3 생활인프라’ 수요를 파악했다.
이를 통해 행정계획 수립 시 즉각 반영할 수 있는 시민참여형 정책모델을 제시했다.
또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기술도 적용했다. 시민 의견에 자주 등장하는 단어와 공통된 주제로 지역별 특수성·정서적 요구까지 분석했다.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해 주민센터를 통한 참여 창구를 마련해 접근성도 높였다.
시는 이 같은 방법이 고비용·저효율의 공청회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데이터 기반·인공지능(AI) 분석 중심의 과학적 행정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유정 시 도시계획과장은 “이번 연구는 행정계획의 주인을 시민에게 되돌리는 첫걸음”이라며 “앞으로도 인공지능과 공간기술은 물론 다양항 방법론을 접목해 더 많은 시민의 목소리를 체계적으로 반영하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도시계획 정책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지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