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소액결제 피해 사건' 펨토셀 장비 전달 등 8명 추가 검거…한국인도 포함

2025.11.10 14:42:14 7면

소액결제 모바일 상품권 세탁 등…3명 추가 송치
현재까지 패히 규모 1억 4000만 원 피해자 200명

 

경찰이 수도권 일대에서 수억 원 대 피해가 발생한 KT 소액결제 피해 사건 관련 장비를 전달하거나 범죄수익금을 세탁한 8명을 추가로 붙잡았다. 이들 중 3명을 검찰에 넘겼으며, 현재 범죄를 지시한 상선을 추적하고 있다.

 

10일 경기남부경찰청은 정기 기자간담회를 열고 정보통신망법 위반(침해) 및 컴퓨터 등 사용 사기 혐의로 50대 한국인 A씨 등 8명을 검거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A씨와 30대 중국 동포 B씨, 한국 국적의 40대 C씨를 구속송치했다.

 

이들은 이 사건 실행범에게 장비를 전달하거나 자금 세탁을 도운 혐의를 받고 있다.

 

A씨는 텔레그램 등으로 알게 된 상선의 지시로 지난 6월 초 범행에 사용된 통신장비 부품을 조달해 B씨에게 전달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는 범행 대가로 상선에게 500만 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B씨는 지난 7월 19일 이 사건 실행범에게 A씨에게 받은 부품과 별도로 입수한 다른 부품을 전달한 혐의를 받는다.

 

이 사건에 사용된 장비는 27개의 네트워크 장비 개별 부품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당초 해당 장비는 펨토셀이라고 알려졌으나, 전체 부품 중 펨토셀 역할을 하는 부품은 단 1개인 것으로 보인다.

 

C씨는 SNS를 통해 접촉한 상선의 지시로 무단 소액결제로 취득한 모바일 상품권을 자신의 계정으로 받았다가 다른 사람에게 넘기는 등의 수법으로 자금 세탁을 도운 혐의다. 그는 범행 대가로 하루 10만~15만 원을 받기로 한 것으로 드러났다.

 

A씨와 B씨는 일면식이 없으며 상선을 통해 범행을 지시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B씨는 이 사건 실행범과 일면식은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경찰은 이들에게 각각 범죄를 지시한 상선이 모두 동일인물인지에 대해 파악하는 등 추적을 이어가고 있다. 아울러 A씨가 어떤 경로로 범행에 사용된 장비 부품을 확보했는지도 조사하고 있다.

 

이날까지 경찰에 접수된 이 사건 피해 규모는 약 1억 4000만 원에 달하며, 피해자는 220명이다. 지역별로 광명 124명(8100만 원), 일산 1명(90만 원), 과천 10명(445만 원), 부천 7명(578만 원), 서울 금천 67명(4100만 원), 동작 5명(330만 원), 서초 2명(170만 원), 인천 부평 4명(250만 원)이다.

 

한편 경기남부청은 허위 테러 예고 게시글 작성자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절차에 나섰다. 현재까지 손해배상 청구 절차를 밟고 인는 경우는 지난해 9월 이른바 '야탑역 흉기난동 예고글'을 작성한 20대 남성 1건이다.

 

그는 자신이 운영하던 인터넷 커뮤니티를 홍보하기 위해 범행했다고 경찰에 진술했다.

 

경찰은 한동안 야탑역 주변에 경찰특공대와 장갑차를 배치하는 등 순찰을 강화했고, 이 과정에서 인건비와 근무수당, 유류비 등 수천만원 상당의 행정비용이 투입됐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경찰은 A씨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절차를 밟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손해배상 심의위원회를 개최한 뒤 본청 차원의 검토까지 마친 상황"이라며 "현재 경찰은 관할 고등검찰청의 국가 원고 소송 제기 지휘를 받기 위해 제출해야 할 손해액 관련 자료 등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이날 경기남부청은 지난달 10일 숨진 채 발견된 양평군청 소속 공무원 50대 D씨에 대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부검 결과 타살을 의심할 정황 등 범죄 혐의점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경찰은 부검 의뢰와 함께 그가 남긴 유서에 대한 필적 감정도 의뢰했으나 아직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

박진석 기자 kgsociety@naver.com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수원본사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일로 8, 814호, 용인본사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974-14번지 3층 경기신문사, 인천본사 : 인천광역시 남동구 인주대로 545-1, 3층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경기, 아52557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