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협박해 고금리 이자 수취한 조직원 전원 검거…총 18억 수취

2025.11.11 13:10:38

238%∼7만 3000% 고금리 이자로 553명 피해
경찰 "미등록 불법 대부업 소액 대출 주의"

 

취약계층을 상대로 고금리 이자를 수취하고 불법추심한 사금융업 조직 총책 등 일당 29명을 검찰에 넘겼다.

 

11일 경기남부경찰청은 대부업등의등록금융이용자보호에관한법률과 범죄단체 등의 조직 혐의로 일당 29명을 송치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피해자 553명으로부터 238%∼7만 3000%의 고금리 이자를 받아 약 18억 원을 수취하고 대포폰 및 해외 발송 문자로 협박한 혐의를 받고 있다.

 

조직 총책 A씨는 중·고등학교 친구들을 포섭해 범행 조직을 결성하고 범행을 위해 수도권의 한 오피스텔 사무실을 마련해 정상 대부업체로 위장했다.

 

이들은 불법 대부 중개업체를 통해 대출자 DB를 확보한 후, 대포폰을 이용해 정상적인 비대면 대부업체라고 소개하며 소액 대출을 유도했다. 

 

일주일 안에 원금 포함 원금 100%의 이자를 상환하지 못하면 1일 연체 비용으로 매일 원금의 40%를 이자로 납부하거나 대출 기간 일주일 연장을 조건으로 원금 상환 후 추가로 원금액의 이자를 계속 받는 등의 수법을 사용해 고금리 이자를 수취했다.

 

또한, 처음부터 불법 채권추심을 목적으로 ▲가족과 지인 연락처 ▲지인 담보로 대출받았다는 내용이 담긴 셀카 동영상 ▲네이버 클라우드 저장 연락처 등을 대출 조건으로 제출하게 했고, 이를 추심에 이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피해자들이 변제기일에 상환하지 못하면 대포폰으로 욕설과 협박을 하고, 해외 발송 문자로 가족 및 지인에게 대출 사실을 알리거나 인스타그램에 지인 담보 대출 인증 동영상을 올리는 방식으로 협박하며 불법 채권추심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후에도 총책 A씨는 자금 세탁을 도맡던 B씨 일당을 포섭해 추가 사무실을 개설했고 범행을 들키지 않기 위해 조직 내부 행동수칙을 정하고 조직원을 협박하는 등의 방식으로 관리해 왔다.

 

이 범죄 피해를 입은 31세 남성 C씨는 예비신부와 파혼하는 것도 모자라 회사에서 해고를 당하는 등 일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해진 것도 모자라 극단적 선택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지난 1월쯤 “불법 대부 사무실에서 채권 추심을 하면서 협박을 하여 채무자가 극단적 선택을 한 것 같다”는 첩보를 입수해 수사에 착수했다.

 

협박 등 추심행위로 자살 시도를 한 피해자들을 설득해 진술을 확보했고 경기복지재단에 접수된 서류를 분석하여 추가 피해자를 구증했다.

 

이후 약 6개월간 CCTV를 분석해 총책 및 전·현직 조직원 전원을 특정하고 통화내역 및 기지국 분석으로 지사 사무실 위치를 파악했다. 이후 조직원들을 순차적으로 검거했다.

 

경기남부경찰청 형사기동대는 "불법 사금융업 조직들이 뿌리 뽑힐 때까지 지속적으로 수사를 계속해 나갈 예정"이며 "법정 이자율을 초과하거나 가족 및 지인 연락처를 요구하는 비대면 대부업체는 모두 미등록 불법 대부 업체일 가능성이 높기에 소액이라도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다"고 전했다.

 

덧붙여 "채무자대리인 제도를 통해 대부계약 무효화 소송 지원 등 구제를 받을 수 있으니 금융감독원을 통해 신청하여 이용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황민 인턴기자 ]

황민 인턴기자 hwangmin0204@daum.net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수원본사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일로 8, 814호, 용인본사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974-14번지 3층 경기신문사, 인천본사 : 인천광역시 남동구 인주대로 545-1, 3층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경기, 아52557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