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분당 오피스 시장이 3분기 들어 회복 흐름을 보였다. 대형 거래가 잇따르며 거래 규모가 급증했고, 프라임급 빌딩을 중심으로 임대료 상승세도 이어졌다.
14일 상업용 부동산 종합 서비스 기업 알스퀘어가 발표한 ‘2025년 3분기 오피스 마켓 리얼 리포트’에 따르면, 서울·분당 오피스 거래금액은 7조 3000억 원으로 전분기보다 28% 늘었다. 올해 누적 거래액은 19조 원에 달했다.
거래 면적은 24만 평으로 확대됐고, 판교 테크원(1조 9800억 원), 페럼타워(6450억 원), 퍼시픽타워(5740억 원), NC타워1(4435억 원) 등 대형 매입이 잇따랐다. 특히 전략적 투자자(SI)들의 ‘사옥 확보형 매입’이 활발해지며, 침체됐던 거래 심리가 뚜렷하게 개선됐다.
임대시장도 프라임급 빌딩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지속됐다. 도심권(CBD) 공실률은 신규 공급에도 불구하고 4.4%를 유지했다. 평균 임대료는 전분기보다 1.2% 오른 평당 28만 9000원으로 나타났다. 대형 빌딩은 33만 5000원(+1.6%)으로 상승했으나, 중소형 빌딩은 18만 2000원(-0.1%)으로 주춤하며 양극화가 확대됐다.
강남권(GBD)은 공실률 4.7%(+0.2%p), 임대료 29만 4000원(+1.0%)으로 소폭 상승했다. 비바리퍼블리카·스노우플레이크·현대오토에버 등 IT·글로벌 기업들의 신규 임차가 이어지며 수요가 견조했다.
여의도권(YBD)은 공실률 2.0%(-0.7%p)로 3대 권역 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임대료는 28만 2000원(+0.3%)으로 상승했고, 전경련회관과 원센티널 등 대형 빌딩의 공실 해소와 재건축 영향으로 공급 압력이 완화됐다.
분당권은 판교 테크원 거래를 계기로 회복세가 두드러졌다. 단일 건물 기준 1조 9800억 원 규모로 역대 최대 거래를 기록하며, 분당 오피스 시장의 존재감을 입증했다.
알스퀘어 빅데이터실은 "프라임 자산 중심으로 임대료 상승세가 지속되고, SI의 사옥 확보 수요가 시장의 신뢰 회복을 이끌고 있다"며 "다만 중소형 자산은 수요 분절이 이어지는 만큼, 향후 권역별 공실 흐름과 신규 공급 리스크를 면밀히 살펴야 한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