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이 기후 피해와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농가에 안정적 판로를 제공하고, 소비자에게는 신선한 농산물을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하며 장바구니 물가 안정에 기여한다.
쿠팡은 최근 3년간 전국 농가에서 직매입해 새벽배송으로 판매한 못난이 채소 누적 규모가 8000톤을 넘어섰다고 18일 밝혔다.
쿠팡은 못난이 채소 직매입 첫해인 2023년 1500톤, 2024년 3700톤, 2025년(1~10월) 2800톤 이상을 전국 농가에서 직매입했다. 무·버섯·당근·파프리카·애호박·오이 등 약 20종을 취급 중이며, 8000톤을 매입한 지역에는 강원 평창·정선·태백·홍천, 충북 괴산, 충남 논산·부여, 전북 고창, 전남 해남·함평·화순, 경북 상주·의성 등이 포함돼 인구감소지역 농가의 부담 완화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못난이 채소는 규격에서 벗어나 일반 유통에서는 제외되지만 신선도와 맛은 동일하다. 쿠팡은 이러한 채소를 직매입해 평균 20% 저렴한 가격에 공급하며 합리적 소비를 원하는 고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올해 폭염 등 이상기후로 농가 피해가 컸음에도, 쿠팡의 대규모 직매입으로 폐기될 채소가 수익으로 전환되는 구조가 형성됐다는 평가다.
현장 농가들은 쿠팡과의 거래가 경영 안정에 실질적 도움이 되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경기 용인 ‘군자농원’은 “올해 10월 기준 못난이 표고버섯이 쿠팡 납품량의 30%를 차지해 물류비 절감과 함께 고용이 전년보다 20% 이상 늘었다”고 밝혔다. 정칠화 충남 당진 ‘그린팜 영농조합’ 대표는 “판매가 어려웠던 못난이 무가 효자 상품이 됐다”며 “대규모 매입 덕분에 매출과 경영 안정이 크게 개선됐다”고 말했다.
쿠팡은 산지 직거래 구조를 통해 농가의 물류비 부담을 줄이고 고객에게 신선한 채소를 빠르게 전달하고 있다. 자체 물류센터에서 검수·포장 후 로켓프레시 새벽배송으로 오전 7시까지 배송돼 워킹맘 등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있으며, 고객 인지도가 낮았던 농산물들이 재조명되는 효과도 나타나고 있다. 경기 이천 ‘송이애’의 김성수 상무는 “못난이 새송이버섯의 납품 비중이 20%에 달한다”며 “폐기 비용이 수익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정책적 효과도 확인되고 있다. 신정훈 국회의원(민주·나주화순)은 “못난이 채소 매입은 인구감소지역 농가의 물류비를 줄이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모범 사례”라며 협력 농가 확대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쿠팡은 산간·농촌 중심으로 협력 농가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쿠팡 관계자는 “물류와 기술 역량이 농가 지원의 기반이 되고 있다”며 “지역 농가의 안정적 판로를 넓히고 고객에게는 신선하고 합리적인 먹거리를 제공하는 선순환 구조를 지속적으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