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오는 28일 오후 4시 김동연 경기도지사와의 회동을 끝으로 비명(비이재명)계 연쇄 회동을 통한 ‘당내 통합 행보’의 마무리 수순에 접어들었다.
이 대표는 지난 13일 김경수 전 경남지사를 시작으로 21일 박용진 전 의원, 24일 김부겸 전 국무총리, 27일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과 만난 뒤 28일 김 지사와의 회동을 앞두고 있다.
27일 경기신문의 취재를 종합하면 이 대표가 2월 회동을 서두른 배경에는 3월 중 자신의 공직선거법 위반 2심 선고는 물론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가 예정돼 있는 상황에서 조기 대선을 염두한 당내 교통정리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김 전 지사와 박 전 의원, 김 전 총리와 임 전 실장 등은 앞서 이 대표와 만나 공통적으로 ‘민주주의의 연대’와 개헌 추진 필요성을 당부했다.
동시에 이 대표의 ‘일극 체제’에 따른 민주당의 정체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는데, “팬덤 정치의 폐해를 극복해야(김경수)”, “사실상 정서적 내전 상태(김부겸)”, “지방분권·균형발전에 대한 민주당의 철학과 의지가 약화됐다(임종석)” 등이다.
이에 마지막 회동을 앞둔 김 지사가 이 대표와의 만남에서 어떤 의제를 들고 갈지 주목된다.
김 지사는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권 교체를 주장한 강도 높은 비판을 이어왔는데, 최근에는 제7공화국을 통한 ‘삶의 교체’ 메시지를 부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대표와 김 지사가 20대 대선 당시 합당 과정에서 공동 합의문에 명시했던 ‘공동 내각 정부’와 ‘국민소환제’ 등 개헌 관련 의제를 꺼내 들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이 대표는 개헌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12·3 비상계엄에 따른 내란종식이 우선돼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적극적 개헌 추진 입장으로 선회할 지는 미지수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