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사건이 금융감독원의 7개월에 걸친 조사 끝에 증권선물위원회 안건으로 상정됐다. 핵심 관계자들에 대한 검찰 고발이 예고된 가운데, 100억 원대 이상 차익 실현과 정치권 연루 가능성까지 거론되며 파장이 커지고 있다.
23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이날 정례회의에서 삼부토건 주가조작 관련 조사 결과를 심의·의결할 예정이다. 해당 안건은 지난 21일 자본시장조사심의위원회 논의를 거쳐 증선위에 올랐다.
조사 내용에는 주가조작 의혹의 핵심 인물들을 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 혐의 등으로 검찰에 고발하는 방안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삼부토건의 주가는 지난 2023년 5월, 폴란드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글로벌 재건 포럼’에 참석한 직후 급등하기 시작했다. 당시 1000원대였던 주가는 같은 해 7월 장중 5500원까지 폭등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금감원은 지난해 9월 한국거래소로부터 이상거래 심리 결과를 넘겨받은 뒤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했다. 조사 과정에서 조성옥 전 삼부토건 회장과 그 가족, 법인 등 10여 개 계좌에서 2023년 5월 이후 수백억 원어치의 주식이 매각됐고, 이들이 100억 원대 이상의 차익을 실현한 것으로 파악됐다. 조사 대상 계좌는 200개가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들 자금이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의 핵심 인물인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 측으로 흘러갔는지 여부도 추적 중이다. 이 전 대표는 한 단체 대화방에 “삼부 내일 체크”라는 메시지를 올린 후 주가가 급등해 주가조작 연루 의혹이 제기돼 왔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에서는 삼부토건 주가 급등 시점이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가 우크라이나를 방문해 젤렌스키 대통령 부부와 재건사업을 논의하던 시기와 겹친다며, 이 사건이 단순한 시세조종을 넘어 정치적 연관성이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달 26일 라디오 방송에서 “가급적 4월 내 마무리하겠다”며 “김건희 여사와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과의 연관성은 현재로선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관련 계좌 등은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삼부토건은 최근 2년 연속 부적정 감사의견을 받아 상장폐지 위기에 놓였으며, 금감원은 지난 1일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했다며 주식 매매거래를 정지시켰다. 금융당국의 최종 발표와 검찰 고발 여부에 따라 삼부토건 사태는 정치권으로까지 확산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