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주요 경제단체들이 내년 시간당 최저임금이 올해 대비 2.9% 인상된 1만 320원으로 결정된 것과 관련해 17년 만에 합의를 통해 이끌어 낸 성과라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1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최저임금위원회에 사용자 측으로 참가한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최저임금 결정에 대한 사용자위원 입장'을 통해 "경영계는 이번 합의가 우리 사회가 갈등을 넘어 통합과 화합으로 나아가는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 "이번 결정은 당면한 복합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노사가 기존의 갈등을 반복하기 보다 각자의 입장을 일부 양보하고 조율할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하며 이뤄진 합의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이번 결정을 계기로 경제 회복과 민생 안정을 위한 정책들을 보다 신속히 추진하고 최저임금 인상이 경영난 심화나 일자리 축소와 같은 부작용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세심한 정책적 보완과 지원을 병행해 주길 바란다"고 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늘어난 인건비 부담 때문에 허리가 휘는 상황"이라며 "일자리안정자금 부활, 소상공인 경영 안정 자금 지원 확대 등 다각적인 방안을 실효성 있게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아울러 정부와 국회에 최저임금 결정 구조에 소상공인의 대표성을 강화하도록 개편을 요구했다.
전날 최저임금위원회는 정부세종청사에서 전원회의를 열고 2025년도 최저임금을 올해 대비 2.9% 오른 시간당 1만 320원으로 결정했다. 이는 민주노총 위원 4명이 퇴장한 가운데 근로자·사용자·공익위원 23명 합의에 따른 것이다. 노사공 합의로 최저임금이 결정된 것은 2008년 이후 17년 만이며 1988년 최저임금제 도입 이후 8번째다.
[ 경기신문 = 장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