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혁신위원회(위원장 윤희숙)는 11일 당 의사 결정 구조를 ‘당대표 단일 지도체제’로 전환해 ‘중앙당 지도체제 리더십 강화’를 골자로 하는 혁신안을 발표했다.
혁신위는 현행 최고위원회의도 폐지하고 9명으로 구성된 중앙당무회의를 신설해 당무 결정 기능을 대체하고, 당 대표를 의장으로 하는 ‘전국 민심회의’도 신설키로 했다
혁신위는 이날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회의를 열어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2호 안건을 의결했다고 호준석 혁신위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호 대변인은 “이기는 정당으로 정책 역량을 강화할 정당, 잘 싸울 수 있는 당이 되기 위해서는 리더십이 확고해야 한다”며 “그래서 당대표 단일 지도체제를 채택한다는 게 결론”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고위원회는 폐지된다”며 “최고위 회의를 통해 생중계로 싸우고 이전투구하는 모습이 비치는 애매한 혼합형 지도체제를 끝내고 당대표가 확고한 리더십을 가지고 정책 역량을 갖고 잘 싸우고 이길 체제를 만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혁신위는 당대표와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선출·지명직 최고위원 6명 등 총 11명으로 구성된 최고위원회의 체제를 폐지하고 9명으로 구성되는 중앙당무회의를 신설하기로 했다.
중앙당무회의는 당대표와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사무총장, 수석대변인, 청년위원장, 여성위원장, 당대표가 지명하는 원외 당협위원장 2명 등 총 9명으로 구성되며 주 2회 회의를 진행한다.
또 당대표를 의장으로 하는 ‘전국 민심회의’도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17개 시도당 대표를 전 당원 투표를 통해 선출하고 주 1회 회의를 개최하며, 권한과 역할은 현행 당헌·당규상 상임전국위원회 기능을 대신하게 된다고 호 대변인은 설명했다.
현행 당헌·당규상 상임전국위는 당헌 작성 및 당규 제정, 전당대회·중앙당무위원회 소집 등을 요구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호 대변인은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전국 시도당을 통해 청취된 민심을 당 대표에게 직접 전달하는 그래서 전국정당으로서 민심을 청취하고 민감하게 반응하는 논의 구조를 만들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도당 강화를 통한 현장정치와 전국정당화도 제시했다.
시도당의 대표를 선출하고 5~10명의 최고위원을 당원들이 직접 선출하는 것으로. 시도당에 권한을 대폭 이양하겠다고 덧붙였다.
지방선거 공천뿐만 아니라 예산과 인력을 대폭 확대하고, 시도당 운영에 자율권을 부여하는 한편 여당이 단체장을 맡고 있을 경우 견제하는 기능도 시도당이 행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호 대변인은 “이를 통해 시도당의 민심을 반영할 수 있게 되고 폭넓게 인재를 등용하는 효과도 기대한다”고 밝혔다.
혁신위는 ‘비례대표 공천 혁신’ 구상도 제시했다.
수도권·호남 등 당세가 취약한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 당원 투표를 통해 비례대표 후보자를 결정하고, 청년층 등 할당을 대폭 확보하는 방안이다.
호 대변인은 “예컨대 경기도에서 비례대표 몇 명 취약지역에 할당한다는 게 결정되면, 그것을 (중앙당의) 공천관리위원회가 아닌 지역 당원투표를 통해 ‘우리 지역의 비례대표 의원은 누구다’를 결정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그는 “당 구조 혁신안은 비대위에 보고될 것”이라며 “비대위에서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당원 투표에 부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혁신위는 이날 회의에서 당내 계파간 갈등을 빚고 있는 이른바 인적 청산 문제도 논의했으나 호 대변인은 “조만간 결과를 발표할 것”이라며 자세한 내용은 전하지 않았다.
[ 경기신문 = 김재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