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 방식을 둘러싼 경기도교육청과 시민사회단체 간 갈등 해소에 나섰다.
김 지사는 13일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의 친환경 부추 재배 농가에서 생산자, 학교급식 학부모 모니터단, 영양교사들과 수확·포장 작업을 하며 친환경 농산물의 생산과정과 품질을 확인했다.
김 지사는 “교육청의 방침이 보류됐지만 완전히 철회된 것은 아니기에 우리 아이들의 건강과 미래를 지키기 위해 끝까지 함께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경기도형 친환경 먹거리 체계는 단순 행정이 아니라 다음 세대에게 남겨야 할 신뢰이자 책임”이라며 “제가 있는 한 경기도 친환경급식의 후퇴는 없다”고 강조했다.
부추 재배 농장주인 박기현 씨는 “경기도로부터 농민기본소득 월 15만 원과 ‘경기도 농어업 333프로젝트’ 전문가 컨설팅을 받고 있다”며 “이런 도의 지원이 친환경농업을 지속하는 데 큰 힘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농어업 333프로젝트’는 3년 내 농어업 소득 30% 증대를 목표로 농어업인 310명에게 맞춤 지원을 제공하는 민선8기 핵심 농업정책 일환이다.
지난해 9차례 오디션을 통해 선발한 21개 시군 농어민 310명을 대상으로 내년까지 90억 원을 투입해 경영 분석, 1대 1 맞춤형 컨설팅, 교육·소득 증대 기반 지원 등을 제공한다.
이날 김 지사는 친환경학교급식을 위한 경기도운동본부, 경기도학교급식지원센터협의회, 정치하는엄마들, 전국한우협회서울인천경기도지회, G마크축산물학교급식협의회, 경기도친환경농업인연합회 등 시민사회 공동대책위와 급식의 안정성과 지속가능성, 공공조달체계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앞서 김 지사는 학교 급식 식재료 구매 방식을 수의계약에서 경쟁입찰로 전환하고 수의계약 횟수를 제한하겠다는 도교육청과 이에 반대하는 시민사회단체 사이 갈등을 조정하고 나섰다.
이에 임태희 교육감은 해당 조치를 보류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도는 친환경 학교급식 공급학교 3561개교에 경기도산 친환경·G마크인증 농산물 등 도내 우수 식재료를 우선순위로 공급하고 있다.
친환경 농산물과 일반 농산물 학교 공급가의 차액을 보전하는 방식이다.
지난해 기준 관내 공급량 1만 5645t 중 친환경(친환경+G마크) 우수농산물은 98%(1만 5276t)에 이르며, 그 중 친환경 농산물은 54%(8494t)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도는 도교육청, 시민단체, 도의회와 긴밀히 협력하며 친환경 급식체계의 공공성과 지속가능성을 지켜나간다는 방침이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