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민 10명 중 8명이 폭염을 위험하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절반은 폭염 대응 제도를 알지 못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저소득층, 일용직 근로자 등 취약계층에서 제도 인지율은 30%가량밖에 안 돼 폭염 피해를 줄이기 위한 맞춤형 교육과 정보 전달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은 19일 최근 실시한 ‘폭염 인식 및 대응 제도 인지도’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폭염은 위험하다고 답한 비율은 79.6%(매우 위험 39.6%, 약간 위험 40.0%)로 나타났다. 위험 체감도는 20대가 85.8%, 저소득층 87.7%, 미취업자 82.6%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고용노동부가 지난달부터 시행한 ‘폭염 대응 근무지침’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52.0%에 그쳤다.
인지율을 보면 일용직 근로자 34.5%, 저소득층 31.5%, 고졸 이하 25.2%, 20대 23.4% 등으로 평균보다 20%p 가량 낮아 폭염 대응 정보 접근성에 뚜렷한 격차를 보였다.
폭염 피해에 우선 지원이 필요한 계층으로는 옥외 근로자 76.4%, 노인층 67.8%, 저소득층 37.0% 등으로 나타났다. 일용직 근로자는 옥외 근로자 지원 필요성을 89.7%로 응답해 평균보다 크게 높았다.
아울러 폭염 대응 정책 우선순위에서는 ▲무더위 심터 확충·운영강화가 32.6%로 가장 높았고 ▲사업장 대응 의무 강화·점검 확대 25.0% ▲취약계층 냉방비 지원 확대 21.4% 등이 뒤를 이었다.
오후석 도평생교육진흥원장은 “폭염 피해를 줄이려면 계층별 특성을 반영한 제도 안내와 맞춤 교육이 병행돼야 한다”며 “평생학습을 통해 기후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취약계층 정보 격차를 줄이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도는 폭염·폭우 등 기후재해로 인한 피해를 보장하는 ‘경기 기후보험’을 지난 4월 전국 최초로 도입했다.
도민은 별도 가입 없이 자동 가입되며 피해 유형에 따라 10~50만 원의 보험을 받는다. 지난 12일 기준 1362건의 보험금이 지급됐으며 이 중 276건은 온열질환 진단 입원비로 집계됐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