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준호(국힘·파주1) 경기도의원은 최근 파주 전역에 발생한 단수 사태와 관련해 파주시의 재난 대응 시스템을 전면 개편할 것을 촉구했다.
고 도의원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파주시 행정체계의 구조적 부재가 명확히 드러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고 도의원은 “이번 단수는 파주시가 정상 기능을 유지하지 못한 전면적 재난이었다”며 “학교 급식 중단, 병원·요양시설 위생관리 차질, 다세대 주택 급수 불능 등 생활 기반시설이 사실상 멈췄다”고 지적했다.
고 도의원은 최근 파주 일대에서 상수도 사고가 이어지고 있다고 거론하며 “2021년 침전물 사고, 2023년 탁수·혼탁수 사고, 올해 1월 관말부 침전물 사고에 이어 이번 광역 송수관 파손까지 이어졌다”고 전했다.
또 “우연이 아니라 관리 부실과 사전 대비 부족이 누적된 구조적 위험”이라며 “파주시는 매번 사고 후 공지와 사후 수습에만 머물렀고 근본 대책은 없었다”고 질타했다.
고 도의원은 이번 사태에 대한 파주시의 대응에 대해 “단수 지역, 복구 시간, 식수 확보 방안 등 기본 정보조차 제때 제공되지 않아 시민들이 혼란을 겪었다”며 “이것은 시장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재난 대응 체계, 부서 간 협업 구조, 상황관리 조직 등 파주시 행정체계 전반의 실패”라고 했다.
이어 “17만 가구가 물이 끊긴 재난 상황에서 대통령 방문은 현장 점검과 긴급 지시가 아닌 정치 일정 중심의 행보로 비쳤다”고 비판했다.
고 도의원은 이날 청암초 인근 상수도관 누수 사고에 대해서도 “파주시 담당 부서는 ‘현장에 나갈 인력이 없다’고 했고 관리업체만 남겨진 채 대응해야 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는 특정 부서나 개인이 아니라 파주시 조직 전체가 위기 대응 구조를 갖추지 못한 명백한 증거”라고 덧붙였다.
한편 파주시 등에 따르면 지난 14일 오전 6시 고양 정수장에서 교하·월롱 배수지로 향하는 광역 송수관이 공사 중 파손되면서 파주시 대부분 지역에 단수가 발생했다.
[ 경기신문 = 나규항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