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생명까지 위협하는 알코올 금단성 섬망, 정량뇌파검사로 예측 가능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신경과 임희진 교수팀은 알코올중독 환자의 진전섬망 발생유무에 따라 뇌 활동에 차이를 보인다는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알코올중독은 갑자기 술을 끊었을 때 극심한 금단증상을 겪을 수 있는데, 특히 경련 및 진전섬망이 가장 심각한 형태의 금단증상으로 꼽힌다. 진전섬망은 전신의 떨림을 동반한 의식장애로 고열과 부정맥, 자율신경 장애까지 나타날 수 있다. 알코올 중독환자 중 많게는 30%가 진전섬망을 경험하며, 알코올중독 입원환자의 약 4%가 이로 인해 사망한다. 진전섬망 발생 후 8년 내 사망률은 30%이다. 연구팀은 2018년 3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과 한림대학교 한강성심병원에 알코올 금단성 경련으로 입원한 환자 13명의 초기 정량뇌파검사 결과를 분석했다. 이 중 8명의 환자에게서 진전섬망이 나타났다. 섬망이 발생한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단기간에 알코올 섭취량이 더 많았다. 또 건강한 사람의 뇌파와 알코올 금단증상을 겪는 환자의 뇌파를 비교하기 위해 1289명의 대조군을 모집해 비교했다. 그 결과 알코올 금단성 경련 증상을 겪은 환자의 뇌파는 건강한 사람과 비교해 인지 및 기억 성능과 관련된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