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신경과 임희진 교수팀은 알코올중독 환자의 진전섬망 발생유무에 따라 뇌 활동에 차이를 보인다는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알코올중독은 갑자기 술을 끊었을 때 극심한 금단증상을 겪을 수 있는데, 특히 경련 및 진전섬망이 가장 심각한 형태의 금단증상으로 꼽힌다. 진전섬망은 전신의 떨림을 동반한 의식장애로 고열과 부정맥, 자율신경 장애까지 나타날 수 있다. 알코올 중독환자 중 많게는 30%가 진전섬망을 경험하며, 알코올중독 입원환자의 약 4%가 이로 인해 사망한다. 진전섬망 발생 후 8년 내 사망률은 30%이다. 연구팀은 2018년 3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과 한림대학교 한강성심병원에 알코올 금단성 경련으로 입원한 환자 13명의 초기 정량뇌파검사 결과를 분석했다. 이 중 8명의 환자에게서 진전섬망이 나타났다. 섬망이 발생한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단기간에 알코올 섭취량이 더 많았다. 또 건강한 사람의 뇌파와 알코올 금단증상을 겪는 환자의 뇌파를 비교하기 위해 1289명의 대조군을 모집해 비교했다. 그 결과 알코올 금단성 경련 증상을 겪은 환자의 뇌파는 건강한 사람과 비교해 인지 및 기억 성능과 관련된 알
배우 박중훈이 또 음주운전을 하다 적발됐다. 박중훈은 음주 후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차를 몰다 경찰에 적발됐다. 면허 취소 기준을 크게 넘는 만취 상태였다. 28일 SBS 뉴스에 따르면, 지난 26일 밤 10시 20분쯤 경찰에 서울 강남구 삼성동 한 아파트에서 음주운전 관련 신고가 접수됐다. 아파트 직원은 “지하 주차장에 음주운전으로 보이는 사람이 있는데 신원 확인에 응하지 않는다”는 내용으로 신고했다. 현장에 출동한 경찰이 신원확인 결과 운전자는 박중훈이었다. 조사 결과 박중훈은 지인과 술을 마신 뒤 대리운전 기사를 불러 지인 아파트 입구까지 왔으나 입구부터 100m 정도 직접 차를 운전해 지하2층 주차장으로 들어갔다. 당시 박중훈의 혈중 알코올 농도는 면허취소 수준인 0.08% 두 배가 넘는 만취 상태였다. 경찰은 박중훈이 적발되기 직전에 이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교통사고와도 관련이 있는지 소자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박중훈의 차량 블랙박스 영상과 아파트 CCTV 영상을 확보해 분석 중”이라고 했다. 박중훈의 소속사 나무엑터스 측은 “박중훈은 26일 저녁 지인 두 명과 함께 술을 마셨고 저녁 9시, 대리운전 기사분이 운전하는 차량을 두 대로 나
장내 존재하는 미생물의 변화를 통해 중증 알코올성 간염을 진단 및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이 열렸다. 중증 알코올성 간염은 과다한 알코올 섭취로 인한 알코올성 간질환 중 가장 심한 상태로 치료하지 않으면 한 달후 사망률이 50%가 넘는다. 현재는 과도한 알코올 섭취력과 혈액검사를 통한 황달과 응고인자 검사로 진단한다. 아주대병원 소화기내과 정재연 교수팀(김순선 교수·은정우 연구조교수)은 2016년 12월부터 2019년 1월까지 국내 6개 대학병원(아주대병원·고대안암병원·성빈센트병원·인천성모병원·부천성모병원·부천순천향병원)에서 모집한 중증 알코올성 간염 환자 24명과 정상군 24명의 대변 미생물 및 미생물 유래 세포외 입자를 분석했다. 그 결과 미생물 종의 다양성을 알아보는 ‘알파다양성(개체 내 미생물 종의 다양성)’은 작고, ‘베타다양성(군내의 개체 간 미생물 차이)’은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환자군은 정상군에 비해 장내 미생물이 다양하지 않으며, 같은 환자여도 미생물 종류가 다르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 환자군의 장내 미생물에서 공통적으로 증가 혹은 감소한 144개의 미생물 종을 확인했다. 중증 알코올성 간염 환자 8명을 대상으로, 4주간 경구 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