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은 원형탈모 치료시 탈모 면적이 절반 이상이거나 치료 당시의 나이가 어릴수록 예후가 나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14일 밝혔다. 최지웅 아주대병원 피부과 교수팀은 2017년 1월 1일부터 2022년 5월 31일까지 8주 가량 메틸프레드니솔론 치료를 받은 원형탈모 환자 136명을 대상으로 치료와 재발의 예후 인자를 확인했다. 원형탈모는 다양한 크기의 원형 또는 타원형의 탈모반이 생기는 것으로, 세포독성 T세포가 자신의 모낭을 공격하는 자가면역성 질환이다. 재발이 흔하고, 심하면 전두탈모와 전신탈모로 이어질 수 있다. 탈모반이 작을 때는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를 도포하지만, 탈모 면적이 넓은 경우 단기간 감량 경구 스테로이드를 통해 초기에 모발 재생을 유도하는 치료를 시행한다. 연구팀은 8주간 치료 종료 후 첫 번째 병원 방문 시점에서 기존 대비 원형탈모 중증도의 변화를 비롯해 인구학적 특성, 다양한 검사결과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36.7세였으며, 환자의 75%에서 기존 대비 50% 이상 탈모가 개선되는 좋은 치료효과를 확인했다. 특히 다양한 요인의 다변량 분석결과, 15세 이하의 어린 나이와 두피 50%이상의 광범위한 탈
무덥고 습한 여름이 끝나고 가을에 접어들면 평소보다 두피와 모발 건강에 더욱 신경써야 한다. 여름철 강한 자외선이나 물놀이에 혹사당한 두피와 모발이 가을철 심각한 탈모를 야기 시킬 수 있다. 야외활동이 잦은 여름에는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두피가 공격받아 쉽게 노화되고, 깨끗이 씻어내지 못한 땀, 먼지 등으로 트러블의 발생이 잦다. 이때 자칫 관리가 소홀하면 날씨가 점차 건조해지는 가을로 접어들며 두피의 유수분 밸런스가 흐트러지고 호르몬 이상변화 등으로 인한 탈모가 유발될 수 있다. 탈모는 정상적으로 모발이 있어야 할 곳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생명에는 직접적인 관련이 적지만, 미용적 역할이 커서 사회적으로나 심리적인 부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하루 약 50~100개까지의 모발이 빠지는 것은 정상이지만, 자고 나서 혹은 머리를 감을 때 빠지는 모발의 수가 100개를 넘으면 탈모를 의심해야 한다. 탈모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상처가 동반되는 반흔성 탈모와 모발만 빠지는 비반흔성 탈모로 나눌 수 있으며 남성형·여성형 탈모, 유전성 탈모, 원형 탈모, 계절성 탈모, 휴지기 탈모 등으로 질환을 구분할 수 있다. 가을철 흔히 나타나는 계절성 탈모는 여름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