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집집마다 방공호”…주민들의 피난史 담긴 연천군 신망리 마을박물관
“누구나 집집마다 방공호가 있었어요.” ‘new hope town’ 간판이 걸린 연천군 신망리 마을박물관은 주민들이 살아온 이야기와 지역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있는 곳이다. 지난달 25일 찾은 신망리 마을박물관은 지금은 운행을 멈춘 신망리역 인근 마을 초입에 자리하고 있다. 진나래 작가와 DMZ 문화권역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소모임 ‘비무장사람들’이 주관해 올 1월 문을 열었다. 먼저 지역을 소개하자면 연천 수복지구에 위치한 신망리는 1954년 미군의 원조로 100호의 집을 지어 조성된 피난민 정착촌이다. 한국 전쟁 이후 폐허가 된 땅에 귀농한 주민들은 제비뽑기를 통해 가구당 약 100평의 땅을 지정받고 미군이 제공한 물자와 설계도를 기반으로 군인들과 함께 손수 집을 지었다고 한다. 박물관에 들어서면 보이는 ‘신망리 구호주택 복원모형’은 그 당시 동네의 모습을 짐작케 한다. 이경희 작가는 필름에 프린트로 작업한 ‘노아미데어-신망리’를 통해 평화로운 마을 신망리에 남아있는 전쟁과 군(軍), 생존의 흔적을 가시화했다. 경기북부의 많은 지역이 미군부대에 기대 경제활동을 이뤘듯이 신망리도 마찬가지였고, 수많은 미군부대가 빠져나간 뒤 마을은 이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