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칸영화제’ 외유와 거짓해명 등으로 사퇴압박을 받고 있는 경기도의회 윤화섭(민·안산) 의장이 도의회 정상화의 키인 ‘자진사퇴’를 쥐고 각종 ‘꼼수’를 이어가 의회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특히 윤 의장이 자신의 거취 문제는 쏙 빼놓은 채 별개로 정상적인 의회 운영을 위한 의사일정 논의를 제안하는 등 비상식적인 돌발행동을 이어가면서, 윤 의장의 행태에 대한 비난 여론이 도의원들과 민주당을 넘어 지방자치제에 대한 불신으로까지 비화되고 있다.
19일 도의회에 따르면 윤 의장은 지난 18일 자신이 제안한 양당 대표와의 3자 회동을 아무런 설명없이 전격 무산시킨 데 이어, 새누리당 측에 자신의 문제는 별개로 한 의사일정 논의를 제안했다.
3자 회동 취소에 대한 설명은 일언반구조차 없었던 것은 물론, 다음 만남에 대해 민주당의 새 대표에 대한 인사자리라는 명분을 세우며 사실상 자신의 거취문제에 선을 그은 것이다.
이같은 윤 의장의 버티기가 이어지면서 윤 의장 사태 파장이 일파만파로 확대되고 있다.
주요 포털에 윤 의장 사태 기사가 메인 기사로 올라오며 댓글을 통해 윤 의장과 민주당에 대한 비난이 쇄도하고 있는 것은 물론 지방의회 폐지 여론까지 가세하고 있는 상황이다.
사퇴 거부를 고수하던 윤 의장이 여론악화로 인해 사퇴를 고려하던 것과 달리 돌연 입장을 바꾼 배경에는 민주당을 비롯한 의회가 발빠른 대응을 할 수 없는 현 상황이 주요하게 작용했다는 것이 의회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민주당의 경우 새 지도부 구성이 우선순위인 것은 물론 이번 외유 사태로 김경표(광명) 위원장이 자진사퇴하며 공석이 된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자리와 함께 이달 말로 임기가 끝나는 예산결산특별위원장 자리를 채워야 하기 때문에 당장 윤 의장 사태에 손을 쓸 수가 없는 상태다.
또 과반의 지지를 얻지 못한 민주당의 신임 강득구(안양) 대표가 당론인 ‘윤 의장의 자진 사퇴’를 성사시키면서 윤 의장을 옹호하고 있는 당내 세력까지도 포옹해야하는 상황이어서 진퇴양난에 빠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새누리당 역시 최후의 카드인 불신임안을 제출해 놓은 상황에서 윤 의장과 민주당의 결단에 맡길 수밖에 없는 입장이라 자칫 이번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흐지부지될 공산이 높아 윤 의장에게는 그야말로 ‘기회’인 셈이다.
민주당 강 대표의원은 “새 지도부 구성을 서두르는 한편 의원들의 여론을 적극 수렴해 이번주 중으로 결단을 내리겠다”고 강조했다.
새누리당 이승철(수원) 대표의원은 “민주당의 현 상황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만큼 당분간 민주당의 새 지도부 구성을 위한 시간을 줄 생각”이라며 “이번 회기가 26일까지인 만큼 25일 정도 본회의 개최를 목표로 충분한 논의를 거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