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건강관리협회(회장 김인원, 이하 건협)는 창립 58주년을 맞이해 기념식을 개최했다. 지난 7일 본부 추담홀에서 진행된 창립기념행사에서는 건협 임직원 등 90여 명이 참석했다. 기념식에 이어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기여한 직원들의 정부포상, 장기근속직원 및 우수직원 표창, 영상화질관리평가 우수지부 및 학술연구 우수지부 표창 등 시상도 진행됐다. 김인원 건협 회장은 기념사를 통해 “환경과 건강을 아우르는 지속가능한 공헌활동을 실천하여 사회적 가치실현에 앞장서고, 지난 58년의 소중한 경험을 토대로 빠르게 변화하는 의료시장에 대응하며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건협과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의 학대피해아동 ‘희망터치 클릭’ 기부금 약정식도 있었다. 사회 공헌 운동인 희망터치 클릭기부는 건협 누리집을 통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알림 창의 ‘무료 기부하기’를 클릭하면 건협에서 1000원을 기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한편, 한국건강관리협회는 1964년 한국기생충박멸협회로 설립됐다. 건강검진 및 건강증진활동을 통한 질병 조기발견 및 예방을 위해 전국 주요 시도에 17개 건강증진의원을 운영하고 있다. [ 경기신문 = 정경아 기자 ]
 
								
				예로부터 차(茶)는 시간과 시간을 이어주며 마음을 맑게 하고 생각을 집중할 수 있게 해주는 촉매제로 여겨졌다. 부쩍 추워진 날씨에 옷장 앞에서 코트를 꺼내야 할지 패딩을 꺼낼지 고민하는 요즘, 면역력이 떨어지는 환절기에 어떤 차를 마시면 건강에 도움이 될까. ◇면역력 높이는데 도움되는 배·모과차 기관지에 염증이 생기면 가래가 생기는데 이때 배와 모과로 끓인 차를 마시면 한결 편안해진다. 배에 풍부하게 들어있는 루테올린 성분은 항염증 효과가 있어 가래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고, 항산화 성분도 면역력에 좋다. 또 모과에 들어있는 사과산과 주석산, 구연산 등 유기산은 침이나 담즘, 췌장액 등의 소화 효소 분비 촉진에 도움이 된다. 항균작용을 하기 때문에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 면역력을 높여주기도 한다. ◇기침·가래 잦아드는 생강차 한입 베어 물면 매운 맛과 향이 나는 생강. 알싸하고 얼얼한 맛을 내는 주성분인 진저롤과 쇼가올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항암효과를 나타낸다. 또 기침과 가래를 잦아들게 하고 구역질이 나는 증상을 진정시킨다. 생강을 꾸준히 섭취하면 잇몸에 생기는 치은염, 두피에 생기는 두피염뿐 아니라 건조한 계절 트러블과 피부염을 예방
 
								
				체내에 지방 조직이 과다한 상태를 비만이라고 말한다. 비만은 단순히 살이 쪄서 몸집이 비대해 보이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체내의 지방조직이 실제로 과다해져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 각종 성인병 및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체중은 많이 나가지만 근육량이 증가해 있고 지방량이 많지 않은 경우는 비만으로 부르지 않는다. 유전이나 심리적 원인도 무시할 수 없지만 비만은 일반적으로 오랜 기간 섭취한 열량에 비해 소비한 열량이 적을 때 남은 열량이 지방으로 바뀌어 체내 축적되면서 유발된다. 특히 고칼로리의 서구화된 현대 식습관이나 코로나19 장기화로 외부활동이 줄어드는 생활환경은 비만을 증가시키기 쉽다. 일반적으로 비만은 체중만으로 진단되지 않고,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눠 계산한 체질량지수(BMI)와 허리둘레를 측정해 평가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체질량지수 30kg/㎡이상, 우리나라는 체질량지수 25kg/㎡ 이상을 비만으로 분류한다. BMI가 정상이어도 허리둘레가 남자 90cm 이상, 여자 85cm 이상이면 복부비만으로 볼 수 있다. 비만의 증상은 외형적 변화 외에 특별히 드러나지 않아 관리가 소홀하기 쉽지만, 각종 질병과 연관성이 높아 주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