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곳곳에 가을비 내리는 9월 7일은 가을이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백로(白露)’이다. 흰 이슬이라는 뜻의 백로는 이때쯤 밤에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풀잎이나 물체에 이슬이 맺히는 데서 유래됐다. 무더위가 가시고 신선한 가을을 맞이하게 된다는 처서(處暑)와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진다는 추분(秋分) 사이의 시기로 음력으로는 8월, 양력으로는 9월 9일 무렵이다. 천문학적으로 태양이 황경 165도를 통과할 때이며, 우리나라 24절기 중 열다섯 번째 절기에 해당한다. 대체로 백로 무렵에는 장마가 걷힌 후여서 맑은 날씨가 이어진다고 하는데 간혹 남쪽에서 불어오는 태풍과 해일로 곡식의 피해를 겪기도 한다. 백로가 지나면 가을이 한창인 중추(仲秋)인데 이때는 서리가 내리는 시기이다. 벼 이삭은 늦어도 백로 전에 패어야 하는데 서리가 내리면 바람이 불어 수확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농가에서는 여간 신경이 쓰이는 게 아니었을 것이다. 예로부터 선조들은 백로 전에 서리가 오면 농작물이 시들고 말라버리는 것으로 생각했다고 한다. 제주도 속담 ‘백로전미발(白露前未發)’은 이때까지 패지 못한 벼는 더 이상 크지 못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백로는 대개 음력 8월 초순에 들지만
요즘 길을 걷다 보면 살랑살랑 불어오는 선선한 바람에 가을이 성큼 다가왔음을 느낄 수 있다. 오는 23일은 여름이 지나 더위가 가시고 신선한 가을을 맞이하게 된다는 처서(處暑)이다.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입추(立秋)와 가을의 기운이 완연한 백로(白露) 사이의 시기로, 음력으로는 7월 15일, 양력으로는 8월 23일 무렵이다. 우리나라 24절기 중 열네 번째 절기에 해당한다. 이때 ‘땅에서는 귀뚜라미 등에 업혀 오고 하늘에서는 뭉게구름 타고 온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여름이 가고 가을이 드는 계절의 순행을 느낄 수 있다. 예로부터 처서가 지나면 따가운 햇볕이 누그러져 풀이 더 이상 자라지 않기 때문에 논두렁의 풀을 깎거나 산소를 찾아 벌초를 했다. 또 선조들은 이 무렵 여름 동안 장마에 젖은 옷이나 책을 음지(陰地)에서 말렸다고 한다. 특히 처서 무렵의 날씨는 한해 농사의 풍흉(豊凶)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데, 가을의 기운이 왔다고는 하나 햇살은 여전히 왕성해야 하고 날씨는 쾌청해야 한다. 처서 무렵이면 벼의 이삭이 패는 때이고, 이때 강한 햇살을 받아야만 벼가 성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날씨는 농사의 풍흉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농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