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년 9월 개교한 광명 빛가온초등학교는 비교적 최신식 시설을 갖춘 학교로 알려져 있다. 넓직한 복도 등은 빛가온초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다. 5년 여 학교생활을 이어가며 널찍한 복도 끝 부분을 어떻게 활용할까 고민하던 학생들과 교사들은 상상력을 자극하는 놀이공간으로 바꿔보자는 데 마음을 모았다. ■ 복도에 남는 자리, 우리만의 특별한 공간으로 특히 코로나19 장기화와 고농도 미세먼지로 실외활동에 제한이 많아지면서 실내 휴식 공간 및 놀이 공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계속됐다. 빛가온초는 2019년 경기도교육청이 공모하던 학교 공간혁신 사업을 신청했고 지난해 11월 그 어느 학교에서도 찾을 수 없는 학년별 특별한 휴게공간 6곳을 꾸렸다. 빛가온초는 남은 공간 12곳 중 우선 6개 공간에 대한 진행을 하며, 모든 부분을 학생, 학부모, 교사 등 교육공동체와 함께했다. 의견을 듣기 위해 코로나19 전인 2019년 말엔 학부모와 교사들이 참가한 워크숍도 열었다. 이 자리에서 빛가온초 구성원들이 함께 고민하고 생각하고 마음을 모았다. 이어진 2차 워크숍에선 학생들이 직접 참여 설계한 모형을 분석하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학생들은 정성을 담아 한
 
								
				Q. 공간혁신 사업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있다면? = 우리 학교는 지난 2017년 개교한 비교적 최신 시설을 갖추고 있었고, 유휴교실이 많이 있었지만 해마다 학급 수가 늘어 학생들을 맞이하기 위한 교실을 만드느라 바빴다. 그 후에도 남은 공간에 대해 ‘어떻게 할까?’ 고민을 하고 있던 차에 그때 마침 공간혁신사업이 처음 등장했다. 공간혁신사업이 학교 공간과 교육과정을 연결시키는 새로운 접근이라는 점이 와 닿았고 이에 교직원과 협의하게 됐다. 이에 교육과정을 좀 더 풍성하고 다채롭게 만들어보자는 생각으로 공간혁신 사업을 신청하게 됐다. Q. 코로나19 장기화로 아직 본격적인 활용은 못하고 있지만, 학생들을 위한 공간혁신 사업을 일부 완성한 소감은. = 사업을 추진하는 동안 우리는 교육공동체의 생각을 모아 공간의 이름을 짓고 함께 디자인하고 공간 설계 과정에서 아이디어를 수없이 많이 수정 보완해가면서 차츰 공간 윤곽이 드러나고 완성됐을 때에 모두가 뿌듯해하고 기뻐했다. 또 교육공동체 모두가 한마음으로 즐겁게 참여해서인지 그 공간 안엔 수많은 이야기가 담겨있고 웃음이 담겨 있고 그렇기에 모두의 숨결이 느껴지는 공간이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더욱 소중하고 모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