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관장 정성희)은 개관 12주년을 맞아 경기옛길센터와 함께 특별전 ‘경기옛길, 상심낙사의 길을 걷다’를 선보인다. 23일 막을 올리는 전시는 실학자 여암(旅庵) 신경준(1712~1781)이 편찬한 ‘도로고(道路考)’를 중심으로 옛길의 의미를 살펴보고, 옛 그림과 사진, 영상을 통해 옛길 지도를 따라가며 다양하게 펼쳐진 풍광을 느낄 수 있다. 상심낙사는 ‘마음으로 감상하는 즐거운 일’이란 의미이며, 소동파가 만든 ‘마음으로 감상하는 16가지 아름다운 경치’라는 뜻의 ‘상심십육사(賞心十六事)’에서 비롯됐다. 다산 정약용은 “유산의 내 옛집은 비록 재물은 넉넉하지 않으나 천연으로 이뤄진 산수의 운치만큼은 마음으로 감상하고 즐길만한 곳”이라며 상심낙사의 운치를 가진 곳으로 자신의 고향집이 있는 초천과 서종을 꼽았다. 또 “서울은 물가도 비싸고 살면 살수록 빚에 쪼들리지만, 서종이란 곳은 초목이 무성해 겨울에도 추울 일이 없다”고 했다. 실학자들은 길 중에서도 특히 ‘도로’의 중요성을 얘기해 왔다. 그중 길을 가장 체계적으로 연구한 실학자가 바로 여암 신경준이다. 신경준은 국가를 다스리는데 있어 치도(治道), 즉 도로의 개선과 정비가 중요한 과제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관장 김태희)이 조선후기 실학과 실학 정신 현양을 주제로 당시 역사와 문화를 조망할 수 있는 유물을 구입한다. 대상 유물은 조선후기 실학을 대표하거나 사회적 변화를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유물이다. 특히 ▲조선후기 지방지 및 읍지(邑誌) ▲실학자의 전적 및 고서화 ▲실학자의 공부방 관련 목가구류 분야(서안, 서류함, 사방탁자, 문갑, 붓걸이 등)를 중점적으로 구입할 예정이다. 유물 매도 희망 참가 자격은 '개인소장가(종중 포함)', '문화재매매업자', '법인 또는 단체'이다. 신청자는 공고 기간 안에 소정의 양식에 따라 ①유물매도신청서(유물 이미지 포함) ②매도신청유물명세서 ③개인정보제공동의서를 작성해 실학박물관 학예팀으로 등기 우편 및 E-mail을 이용해 접수하면 된다. 접수는 오는 16일까지이며, 우편 접수는 공고 마감일 소인까지 유효하다. 자세한 사항은 실학박물관 누리집 공고를 참고하거나 실학박물관 학예팀 담당자에게 문의하면 된다. 문의 031-579-6010 [ 경기신문 = 강경묵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