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로작가부터 신진작가까지 세대와 국경을 넘나드는 온라인 전시가 열렸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제만화가대회(ICC) 사무국이 주관하는 ‘한·중 수교 30주년 기념전: 친구, 우정’은 한국과 중국 만화가 65명이 참여해 ‘친구’, ‘우정’에 대한 다양한 만화적 해석과 상상력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지난해 개최된 ‘ICC 온라인 교류전: 코로나 극복을 위하여’에 이은 두 번째 온라인 기획전으로, 모든 작품은 온라인 접속을 통해 감상할 수 있다. 한국만화영상진흥원과 ICC 누리집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전시관은 양국 만화가들의 뜻과 동양의 철학을 담은 미적 공간으로 세세하게 설계돼 로비, 우정의 공간, 한국관, 중국관 등 총 4개의 공간으로 꾸며졌다. 가상공간의 특성을 살려 현실에서 쉽게 경험하기 어려운 공간 디자인으로 제작함과 동시에 관람의 흐름이 어색하지 않도록 ▲모던 ▲전통 ▲추상 등 3가지 알맞게 사용했다. 전시를 준비한 신종철 ICC 사무국장 겸 한국만화진흥원장은 “한·중 양국 만화인들의 우정과 상상력이 만나는 이번 전시를 감상하는 동안 잠시마나 코로나 19로 지친 심신을 위로받고 따뜻한 온기 느껴보실 수 있을 것”이라며, “내년 중국 랑팡시에서 개최될 제1
청나라 수도 연경(燕京, 현재의 북경)의 ‘유리창 거리’. 고서점이 즐비한 곳으로, 조선 연행사들이 중국 사행을 갈 때마다 각종 서적 구매 등 다양한 문화 활동으로 한·중 지식인 교유가 이뤄지던 장소였다. 언어도, 문화도 달랐던 조선과 청나라 문인들은 한문이라는 공통점으로 고전에 대한 이해와 유교적 인격 수양 등 공감대를 형성했다. 지난달 실학박물관에서 개막한 전시 ‘연경의 우정’은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어 오랜 시간 밀접한 관계를 맺어온 한국과 중국의 지식인들 간 문예 교류와 우정을 조명한다. 이번 전시는 올해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아 기획됐다. 전시는 한·중 외교사에서 지식인 간 교유가 최절정이던 18~19세기, 조선 후기 민간차원에서 이뤄진 한·중 지식인들 간의 우정을 필담, 편지, 그림 등을 통해 보여 준다. 전시는 ▲만남의 공간, 연경 유리창 ▲홍대용과 엄성의 천애지기 ▲북학파, 중국에 알려지다 ▲한류의 선봉, 초정 박제가 ▲추사 김정희, 60일의 여정과 학술 외교 ▲19세기 청조 문인과 조선 등 총 6부로 구성됐다. ‘홍대용과 엄성의 천애지기’는 담헌 홍대용과 청나라 문인 엄성의 우정을 이야기한다. 1766년 연행단의 일원으로 연경에 갔던 33살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이 2021년 소띠 해(신축년)를 맞아 왕실 유물 ‘우정牛鼎’을 온라인을 통해 소개한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이달의 큐레이터 추천 왕실 유물로 ‘우정’을 정했다고 4일 밝혔다. 우정은 조선시대 농경사회에서 중요한 노동력이자 재산이었던 소의 중요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소의 머리와 발굽 모양을 한 세 개의 발과 두 개의 손잡이가 달린 제기용 솥이다. 뚜껑에도 소를 뜻하는 ‘牛’가 새겨져 있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종묘에서 사용되던 제기 중 삶은 소고기를 제례 장소까지 옮기는데 사용한 우정의 뚜껑 4점과 몸체 5점을 소장하고 있다. 우정은 국가제례 때 신에게 익힌 고기를 올려 대접하는 절차인 ‘궤식’과 신에게 바친 고기를 국왕이 다시 받는 절차에 사용했던 솥이다. 신이 제물에 복을 담아 인간에게 돌려주는 것을 의미했고, 우정에 담겼던 고기는 제례가 끝난 후 연회에서 왕과 신하들이 함께 먹거나 종친들과 신하들에게 나눠줬다. 이처럼 소를 비롯한 희생은 신과 국왕, 백성을 연결하는 매개체였으며, 우정에는 신에 대한 공경과 신이 내린 복을 아래로 널리 베품으로써 백성들의 안녕을 바라는 지극한 마음이 담겨 있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소띠 해를 맞아 조선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