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색 주전자에 붉은 연꽃이 피었다. 국보 청자 양각·동화 연꽃무늬 조롱박모양 주자다. 몸체와 뚜껑은 연꽃모양으로, 그 사이에 연꽃 줄기를 들고 있는 동자가 있다. 손잡이 위의 개구리는 벌레를 응시하고 있다. 동화(銅畵)기법으로 제작된 이 유물은 청색과 붉은색의 대비로 그 당시 권력을 드러내고 있다.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상형청자(象形靑磁)를 조명하는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가 열리고 있다. 고려시대 도자공예의 예술성을 대표하는 상형청자를 통해 고려시대의 기술력과 독창적인 미감을 탐구한다. 고려시대 상형청자는 한국문화의 정수로도 꼽힌다. 국내 25개 기관과 개인 소장, 중국·미국·일본 4개 기관의 소장품 274건이 전시되며 국보 11건, 보물 9건, 등록문화유산 1건 등이 포함됐다. 전시는 ‘제1부 그릇에 형상을 더하여’, ‘제2부 제작에서 향유까지’, ‘제3부 생명력 넘치는 형상들’, ‘제4부 신앙으로 확장된 세상’으로 구성됐다. ‘제1부 그릇에 형상을 더하여’에선 고려 상형청자 이전에 삼국시대 3~6세기 신라와 가야의 상형토기와 토우 장식 토기를 소개해 ‘상형’의 역사를 짚는다. 흙으로 특정한 형상을 빚는 ‘상형’은 신석기시대부터 이
[ 경기신문 = 이성훈 기자 ]
만화가 윤서인 씨가 최근 논란이 된 자신의 독립운동가 글에 대해 사과한다는 글을 올렸다. 하지만 사과문 내용을 보면 정말 사과인지 의문이다. ‘너무 짧게 쓴 게 실수’, ‘표현이 부족해서 오해를 부르고, 그래서 저들에게 빌미가 된 점’ 등을 적은 것을 보면, 논란이 된 상황 자체에 대한 사과일 뿐이다. 해당 발언으로 상처를 입었을 독립운동가 후손들에 대한 사과라고 하기 어려워 보인다. 사과 내용과 진정성 여부와는 별개로, 독립유공자와 그 후손으로 구성된 광복회는 윤 씨를 상대로 수십억 원대 소송을 예고했다. ◇ 윤서인 "표현이 부족해 오해"…누구를 향한 사과? 윤 씨는 지난주 자신의 페이스북에 친일파 후손이 산다는 고가 단독주택과 독립운동가 후손이 산다는 허름한 집이 비교된 사진과 함께 “친일파 후손들이 저렇게 열심히 살 동안 독립운동가 후손들은 도대체 뭐 한 걸까. 사실 알고 보면 100년 전에도 소위 친일파들은 열심히 살았던 사람들이고 독립운동가들은 대충 살았던 사람들 아니었을까”라는 말을 남겼다. 해당 게시물이 논란이 되자 윤 씨는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번에 논란이 된 제 글은 너무 짧게 쓴 게 실수였다”며 “글의 의도를 모두 풀어 쓰면 아래와